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위험한 SNS, 민주주의를 공격한다”

알림

“위험한 SNS, 민주주의를 공격한다”

입력
2017.11.07 20:00
14면
0 0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알고리즘

극단적 논리 ‘동지 집단’ 형성 시켜

美서도 중도 성향 감소 부작용

가짜뉴스는 수억 명 판단에 악용

민주화의 우군에서 적으로 변해

지난 1일 미국 상원 법사위의 러시아 대선 개입 관련 청문회에 등장한 페이스북 광고. 페이스북은 이틀간 진행된 청문회에서 지난해 미 대선 기간 중 러시아와 연계된 게시글, 광고 등을 1억명 이상의 미국인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AP 연합뉴스
지난 1일 미국 상원 법사위의 러시아 대선 개입 관련 청문회에 등장한 페이스북 광고. 페이스북은 이틀간 진행된 청문회에서 지난해 미 대선 기간 중 러시아와 연계된 게시글, 광고 등을 1억명 이상의 미국인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AP 연합뉴스

“민주화의 빛과 소금이었던 소셜미디어가 이제 민주주의를 응징하기 시작했다.”

최근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커버스토리로 이 같은 제목을 내세웠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대표 주자 페이스북의 로고인 ‘f’를 소총처럼 손에 쥐어 발포한 후 총구에서 나온 연기가 흩날리는 모습을 담은 그림도 등장했다. 묘사 그대로 ‘SNS가 민주주의를 향해 총을 겨눈다’는 것이다.

한때 아랍의 봄(중동ㆍ북아프리카 민주화 혁명), 유로마이단(우크라이나 반정부 시민운동) 등을 이끌면서 전 세계 민주화 열망을 결집시키는 매개체로 주목받았던 SNS가 어쩌다 이렇게 찬밥 신세가 됐을까. 실제 SNS가 무서운 기세로 영향력을 넓혀 온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의 ‘촛불혁명’ 외에는 민주화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성과는 없었다. 오히려 미국의 온라인 극우세력 알트라이트를 키워 내고, 독일을 위한 대안(AfD)ㆍ오스트리아 자유당 등 유럽 극우정당의 지지기반을 넓히는 등 여론 극단화에 기여했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미얀마의 소수민족 로힝야족 혐오와 케냐의 대선 혼란을 증폭한 것 역시 SNS의 책임으로 꼽힌다.

SNS가 이처럼 민주주의를 왜곡하는 데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 극단화를 부추긴 탓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페이스북ㆍ유튜브 등은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에게 비슷한 성향의 콘텐츠 및 동료 이용자를 주로 소개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접하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노스캘리포니아대의 제이넵 투펙치 교수는 “SNS의 시스템은 사용자를 ‘동지 집단’으로 몰아넣어 온건한 시각도 극단적인 시각으로 변모시킨다”며 “실제 미국에서 중도 성향이 줄어드는 정치적 극단화 효과를 낳고 있다”고 설명했다.

1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페이스북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의 한 부스 앞을 지나는 관계자. AP 연합뉴스
1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페이스북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의 한 부스 앞을 지나는 관계자. AP 연합뉴스

SNS의 위험성은 특히 미 의회 안팎에서 지난해 러시아의 대선 개입과 관련한 조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페이스북 측은 지난달 30일 상원 법사위원회 청문회에서 2015년 1월~올해 8월 사이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가짜뉴스’와 정치 광고 등 게시물을 본 미국인이 1억2,600만명에 달한다고 실토했다. 트위터도 러시아와 연계된 계정만 3만6,746개라고 밝혔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이 인터넷연구소(IRA) 등을 통해 조직적으로 전파하는 가짜뉴스에 수억명이 오도되는 것이다. 이밖에도 미 대선 기간 중 트위터의 정치 관련 글 다섯 중 하나가 봇(자동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 게재되는 등 숨겨진 ‘SNS 권력’의 실체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한 줄기 희망은 SNS 사용자들도 점차 이러한 정보 생태계에 적응해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ㆍ영국ㆍ프랑스ㆍ브라질 국민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 응답자 중 37%만 소셜미디어 상 정보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신문ㆍ잡지의 정보를 믿는다는 응답(70%)의 절반에 불과한 비율이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럼에도 소비자들이 적응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며 그간 나쁜 (의도를 가진) 정부와 정치가 상당한 해를 끼칠 수 있다”며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플랫폼에 대해 적절한 책임감을 갖고 투명성 증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정원 기자 gardenk@hankookilbo.com

30판다시SNS 열풍’이 여론 이끈 주요 사건/2017-11-07(한국일보)
30판다시SNS 열풍’이 여론 이끈 주요 사건/2017-11-07(한국일보)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