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아하! 생태] ‘둘만 낳아 잘 키우자’ 엄마 거위벌레는 나뭇잎 요람도 만들어요

입력
2017.11.18 04:00
14면
0 0
땅에 떨어진 거위벌레 요람은 지표면의 습도를 그대로 전달받아 부화한 애벌레가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발효된다. 2012년 6월 강원 인제 점봉산 등산로에 떨어진 거위벌레 요람. 국립생태원 제공
땅에 떨어진 거위벌레 요람은 지표면의 습도를 그대로 전달받아 부화한 애벌레가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발효된다. 2012년 6월 강원 인제 점봉산 등산로에 떨어진 거위벌레 요람. 국립생태원 제공

#종이 접듯 나뭇잎 꾹꾹 눌러 말아

구멍 뚫은후 알 1,2개 낳고 마무리

정교한 원통 모양 완성까지 2시간

#기생벌·파리가 요람에 몰래 출산

부화하면 거위벌레 알 먹어치워

천적 습격에 20~50%는 훼손돼

#알 낳자마자 땅에 요람 떨어뜨려

지표면 습기로 최적화 요새 역할

적당히 발효돼 먹이로도 안성맞춤

도화지를 펴고 거위를 그려 볼까요. 긴 목과 삐죽거리는 입, 뒤뚱거리는 엉덩이가 먼저 떠오를 겁니다. 흔히 볼 수 있는 곤충 중에서도 목이 매우 길고 상대적으로 짧은 배 부분은 딱지날개로 감싸져 마치 거위나 오리를 연상케 하는 종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거위벌레라고 불리죠.

서양에서는 이 곤충 무리를 모두 묶어 ‘잎말이 바구미(leaf-rolling weevils)’라고 한답니다. 이 곤충이 알을 낳기 위해 잎을 말아 올리는 행동에 주목해 만든 이름인데요. 일본에서도 말아 올린 잎에 알을 낳은 뒤 땅으로 떨어뜨리는 모습을 보고 ‘물건을 떨어뜨린다’는 의미의 오또시부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외형적 특징을 반영한 반면 서양이나 일본은 행동학적 특징을 중요시한 거죠.

잎에 앉아있는 왕거위벌레. 거위벌레는 목이 길고 배가 상대적으로 짧아 거위나 오리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 국립생태원 제공
잎에 앉아있는 왕거위벌레. 거위벌레는 목이 길고 배가 상대적으로 짧아 거위나 오리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 국립생태원 제공

거위벌레와 바구미를 구분하는 법

거위벌레는 넓게 보면 바구미와 함께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우리나라는 바구미 무리에서 독립된 무리로 분류하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아직 이들을 바구미 무리의 일부분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름도 ‘몽똑바구미’라고 지었습니다.

두 곤충은 얼핏 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거위벌레는 뒷짱구가 생긴 것처럼 머리 뒤쪽이 길게 늘어난 모양이고 바구미 무리는 주둥이가 길게 뻗어 있습니다. 더듬이를 한번 살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거위벌레 무리들은 더듬이가 항상 직선으로 뻗어 있지만 바구미 무리의 더듬이는 팔꿈치가 굽은듯한 ‘ㄱ(기역)’자 모양으로 생겼죠.

거위벌레의 친척뻘인 주둥이거위벌레과 곤충도 있는데요. 이 무리는 바구미처럼 주둥이가 길어 보이는 종류가 대다수입니다. 주둥이거위벌레과 곤충은 거위벌레처럼 잎을 말아서 알을 낳는 종도 있지만 과실이나 잎의 새싹, 꽃봉오리 등에 알을 낳거나 다른 곤충이 만들어놓은 요람에 알을 낳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까지 거위벌레과 31종, 주둥이거위벌레과는 4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 가지에 앉아있는 왕바구미. 거위벌레와 달리 바구미는 긴 주둥이를 가졌다. 국립공원연구원 권민철 연구원 제공
나무 가지에 앉아있는 왕바구미. 거위벌레와 달리 바구미는 긴 주둥이를 가졌다. 국립공원연구원 권민철 연구원 제공

거위벌레는 현란한 재단사이자 건축가

거위벌레과 곤충의 가장 큰 특징은 암컷이 알을 낳기 전 잎을 재단하고 돌돌 말아서 애벌레들을 위한 원통형 요람을 만들어 주는데 있습니다. 마치 포대기로 아이를 감싸는 것처럼요. 거위벌레가 만든 요람은 애벌레를 보호하는 집이 되고 먹이가 됩니다.

먹이가 될 만한 식물을 발견한 거위벌레 암컷은 잎 위를 상하좌우로 걸어 다니면서 크기와 신선도가 알을 낳기에 적당한지를 관찰합니다. 알을 낳을 잎을 결정하면 가장자리로 이동한 뒤 잎 가운데의 주맥 방향으로 자르기 시작합니다. 거위벌레의 종류에 따라 잎을 완전히 잘라내기도, 살짝 구멍만 뚫는 형태로 재단하기도 합니다. 거위벌레 암컷은 잎을 잘라낸 뒤라도 애벌레가 살아가기에 적당하지 않다는 판단이 서면 과감히 다른 잎으로 이동하기도 합니다.

잎 한쪽을 자른 뒤에는 반대쪽으로 옮겨 잎 뒷면에 상처를 내는데요. 접히기 어려운 잎이 잘 말려올라갈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인데 마치 종이접기를 할 때 종이가 잘 접히도록 손으로 꾹꾹 눌러주는 것과 비슷합니다.

잎이 점점 시들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요람을 만들기 시작하는데요.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히 잎을 감아 올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리 만들어놓은 꺾임선(상처)을 따라 정교하게 원통을 만듭니다. 잎을 두 세 겹쯤 말아올린 뒤에는 표면에 작은 구멍을 뚫어 요람의 중심부에 1~2개의 알을 낳은 뒤 다시 잎을 끝까지 말아 올립니다. 마지막으로 잎의 끝 부분을 뒤집어서 뚜껑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거위벌레는 요람을 만들기 위해 1시간 40분에서 2시간 가량 잎 위에 매달려 분주히 움직입니다. 길이가 3㎜내외로 아주 작은 요람을 만드는 싸리남색거위벌레는 30~40분 정도면 충분하지만 큰 요람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립니다. 꼼꼼하게 잎을 고르고 오랜 시간동안 요람을 만드는 것이 꼭 아이에게 정성을 쏟는 우리 부모님의 모습을 닮았네요.

잎이 말려 있다고 해서 모두 거위벌레가 만든 요람인 것은 아닙니다. 나방 애벌레가 잎을 말아 그 속에서 지내기도 하거든요. 거위벌레의 요람과 나방 애벌레의 집은 어떤 방식으로 만들었는지를 살펴보면 구분할 수 있는데요. 나방 애벌레는 실을 뽑아내 바느질을 하듯 집을 만들지만 거위벌레는 종이접기를 하듯 잎을 꾹꾹 눌러서 말아 올리기 때문이죠. 나방 애벌레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먹이로 이용하기 위해 잎을 스스로 말지만 거위벌레는 암컷 성충이 애벌레를 위해 잎을 씹어 요람을 만들어 두는 것이니 부모가 자손을 위한 특별한 보살핌이라는 것이 좀 다른 차이겠지요.

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드는 순서. 국립생태원 제공
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드는 순서. 국립생태원 제공

요람은 최적의 요새이자 먹이감

거위벌레가 만든 요람은 애벌레가 살아갈 수 있는 집 역할을 합니다. 대다수의 거위벌레들은 요람을 만든 뒤 땅으로 떨어뜨리는데요. 땅에 떨어진 요람은 천적의 눈에도 덜 띄고 지표면의 습도가 그대로 전해져 애벌레가 살아가기에 최적의 환경이 되죠.

요람 안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습기로 인해 적당히 발효된 잎을 먹고 자랍니다. 이 가운데남색거위벌레속에 속하는 종들은 암컷이 잎을 말아 올릴 때 곰팡이 포자를 붙이기도 합니다. 곰팡이 포자의 역할은 잎이 더 빨리 발효되도록 하는 것인데요. 이 종은 아주 작은 요람을 만들기 때문에 땅에 떨어졌을 때 금방 말라버릴 수 있어 곰팡이의 도움을 받는다고 합니다. 거위벌레의 요람은 최적의 요새이면서도 먹이가 되는 발효과학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런 요람을 지켜보고 있는 이들도 있습니다. 바로 거위벌레 알 속에 알을 낳는 기생벌인데요. 기생벌들은 암컷이 요람을 지을 때 잎 주변을 서성이다 알을 낳는 순간을 포착해 얼른 들어가 알을 낳고 나옵니다. 거위벌레 알 표면에 거의 붙여서 알을 낳습니다. 이를 눈치채지 못한 암컷은 그대로 요람을 완성시키죠. 기생벌 알이 부화해서 애벌레가 나오면 거위벌레 알을 먹어 치웁니다.

요람에 들어가 거위벌레 알이 유충이 됐을 때 기생하는 기생파리도 있다고 합니다. 유충의 근육을 먹어 치웁니다. 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거위벌레 요람의 기생률은 20~50%까지 나타나기도 한다네요. 정성을 들여 요람을 만든 보람도 없이, 그만큼의 거위벌레 후손이 생명을 잃는 것이죠.

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든 뒤 얼른 떨어뜨리려는 습성을 가지게 된 것은 기생벌이나 기생파리로부터 애벌레를 보호하기 위해서 아닐까요. 거위벌레와 기생벌의 관계, 여기서 나타나는 행동학적 의문점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북방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든 뒤 남아있는 잎을 휘감아 뚜껑을 만들고 있다. 국립생태원 제공
북방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든 뒤 남아있는 잎을 휘감아 뚜껑을 만들고 있다. 국립생태원 제공

왜 거위벌레는 힘든 공사를 시작했을까

요람을 만드는 것은 애벌레를 효율적으로 길러내기 위한, 자손을 위한 거위벌레들만의 독특한 방식입니다. 이렇게 공을 들이는 대신 알의 수는 적지요. 마치 하나 낳아 잘 키우자는 예전의 가족계획 표어와도 같은 느낌이 듭니다.

거위벌레과 곤충의 친척 격인 주둥이거위벌레과 곤충들은 식물의 과실이나 꽃, 줄기, 어린 싹 등에 알을 낳는데요. 대표적인 곤충이 도토리에 구멍을 뚫은 뒤 거기다 알을 낳고, 그 도토리가 붙어있는 가지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도토리거위벌레입니다.

주둥이거위벌레의 일종인 도토리거위벌레는 도토리 깊숙이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정종철 울진 엑스포공원 관리소장 제공
주둥이거위벌레의 일종인 도토리거위벌레는 도토리 깊숙이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정종철 울진 엑스포공원 관리소장 제공

주둥이거위벌레의 일종인 뿔거위벌레가 요람을 만들긴 하지만 거위벌레처럼 재단을 하지는 않고 세로로 대강 말아놓은 원시적인 형태이거나 잎을 여러장 붙여 마치 잎 덩어리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이들은 잎을 말면서 잎 표면에 10개 가량의 알을 여기저기 퍼뜨려 낳습니다. 이들은 적은 수의 알을 낳아 잘 키우는 쪽이 아닌 많은 수의 알을 낳는 방법을 선택한 셈이죠.

비슷한 종족이라도 과실이나 줄기에 알을 낳는 곤충이 있는 반면 원시적인 형태의 요람을 만드는 종, 정교한 재단 기술을 바탕으로 짧은 원통형 요람을 짓는 종 등 번식을 하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어쩌면 동굴에서 살던 인간이 집을 지으면서 살기 시작한 것처럼 진화의 한 과정으로 볼 수도 있겠네요. 주둥이거위벌레과 곤충보다는 거위벌레과 곤충이 좀 더 진화된 무리인 셈이죠.

거위벌레의 생김새에도 알을 낳는 방식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알을 낳기 위해 열매에 깊숙한 구멍을 뚫어야 하는 주둥이거위벌레과 곤충은 바구미처럼 긴 주둥이를 가졌지만 거위벌레과 곤충은 잎을 조금 더 잘 씹을 수 있는 짧은 주둥이를 가진거죠.

길게는 두 시간까지 시간을 투자해 요람을 만드는 거위벌레들은 적은 수의 알을 안전한 장소에서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곤충의 세계에서는 좀 더 독특하게 자연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선택한 무리입니다. 시간은 걸릴지 몰라도 후손을 안전하게 지키고 안정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들만의 전략이죠.

거위벌레 요람이 식물 줄기에 매달려 있다. 거위벌레가 만든 요람은 잎이 시드는 과정에서 스스로 땅에 떨어진다. 국립생태원 제공
거위벌레 요람이 식물 줄기에 매달려 있다. 거위벌레가 만든 요람은 잎이 시드는 과정에서 스스로 땅에 떨어진다. 국립생태원 제공

우리 사회는 일반적이고 평범한 길만이 ‘정도’라고 가르쳐 왔습니다. 하지만 후손을 지키기 위해 색다른 선택을 하는 거위벌레의 모습을 살펴보니 조금 더 자신에게 맞는 새롭고 독특한 삶의 방식을 꿈꿔보는 것도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거위벌레가 잎에 상처를 내고 차근차근 요람을 만들어가는 것처럼 우리도 차근차근 삶을 설계하고 변화할 수 있지 않을까요. 내년 여름 숲 속에서 거위벌레가 떨어뜨려 준 편지를 받아보는 건 어떨까요. 거위벌레의 요람은 5월부터 시작해 7,8월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답니다.

박진영 국립생태원 특정보호지역조사팀 선임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