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피할 수 있었던 죽음, 낙후지역이 2배 높아

알림

피할 수 있었던 죽음, 낙후지역이 2배 높아

입력
2017.09.19 18:30
0 0

10만명당 회피 가능 사망률

전남 신안 187명ㆍ용인 85명

빈부격차가 생명과 직결 확인

낙후지역 공중보건 강화해야

한국일보 자료사진
한국일보 자료사진

소득이 낮고 낙후한 지역에 사는 사람은 적절한 치료나 예방을 했다면 피할 수 있었던 죽음을 겪는 비율이 부유한 지역 주민에 비해 최대 두 배 이상 높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역별 빈부ㆍ공중보건 격차가 생명과 직결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박탈에 따른 회피 가능 사망률 격차와 함의’ 보고서를 내놨다.

연구진은 ‘박탈 지수’ 개념을 사용해 국내 251개 시ㆍ군ㆍ구의 순위를 매겼다. 박탈 지수는 한 지역의 박탈과 결핍 수준을 숫자로 나타내기 위해 주거 환경의 낙후 정도와 교육 수준, 노인 인구ㆍ1인 가구ㆍ아파트 거주ㆍ여성 가구주ㆍ이혼 및 사별 비율 등을 종합해 점수화한 것이다. 박탈 지수가 가장 높은, 즉 박탈과 결핍이 극심한 지역 1~3위는 각각 전남 신안군, 경남 의령군, 전남 고흥군이었다. 반대로 박탈 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 세 곳은 각각 경기 용인시 수지구, 용인시 기흥구, 성남시 분당구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박탈 지수를 지역별 ‘회피 가능 사망률’(예방 가능 사망률과 치료 가능 사망률 혼합)과 비교했다. 회피 가능 사망은 조기 사망(75세 이전 사망) 중 적절한 치료나 조기 검진, 정부의 건강 정책 등이 선행됐다면 피할 수 있었던 사망을 뜻한다. 2013년 기준으로 국내 총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377.1명인데, 이중 회피 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38.5명이었다. 사망자 중 36.7%는 피할 수 있었던 죽음을 맞았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박탈 지수가 높은 지역일수록 회피 가능 사망률도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박탈 지수가 낮은 4분위(하위 25%) 지역은 회피 가능 사망자 수가 인구 10만명 당 124.9명에 그쳤지만, 1분위(상위 25%) 지역은 171.9명에 달했다.

지역 박탈지수 하위 10개 지방자치단체/2017-09-19(한국일보)
지역 박탈지수 하위 10개 지방자치단체/2017-09-19(한국일보)

박탈 지수 최상위ㆍ최하위 지역으로 나눠 보면 회피 가능 사망률 격차는 더 크게 벌어진다. 전남 신안군은 회피 가능 사망률이 인구 10만명당 187.09명에 달했지만, 경기 용인시 수지구는 10만명당 84.88명에 불과했다. 피할 수 있었던 죽음을 겪은 사망자 수가 신안군민이 수지구민에 비해 2.20배 많았다는 얘기다. 회피 가능 사망률만 따지면, 1위는 경북 의성으로 10만명당 227.24명(신안은 20위)이고, 가장 낮은 곳은 과천으로 10만명당 60.09명(수지구는 뒤에서 3위)였다.

특히 회피 가능 사망 중에서도 ‘예방 가능 사망률’이 박탈 지수와 더 큰 연관성을 보인다는 것이 연구진이 내린 결론이다. 예방 가능 사망은 회피 가능 사망 가운데서 ▦감염 ▦당뇨병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알코올ㆍ약물 남용 등에 의한 사망처럼 공중보건 정책으로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사망을 뜻한다.

김동진 보사연 부연구위원은 “박탈 수준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공중보건 사업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