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ㆍ부동산 시장 위기 부를 ‘뇌관’되나?
소득으로 빚을 갚기 버거운 한계가구가 지난해 160만 가구에 육박했다. 저금리로 이자 부담이 줄었음에도 3년 새 26만 가구 가까이 늘어났다. 한계가구가 빚 갚기를 포기하고 줄줄이 연체에 빠진다면 금융시스템은 물론 경제 전반에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일 발표한 ‘가계부채 한계가구의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작년 금융권 대출이 있는 1,073만1,000가구 중 빚을 갚기 힘든 한계가구는 158만3,000가구(14.8%)로 2012년(132만5,000가구ㆍ12.3%)보다 25만8,000가구 증가했다. 한계가구란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원리금상환액이 세금 등을 제한 처분가능소득 비율이 4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한계가구의 상당수는 자체적으로는 빚의 수렁에서 헤어나기가 쉽지 않다. 이들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이 연 3,973만원인데 반해 연간 갚아야 하는 원리금상환액은 이보다 많은 4,160만원에 달한다. 매월 벌어들이는 소득을 다 쏟아 부어도 원리금을 갚을 수 없다는 얘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들 한계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부채가 전체 가구 금융부채의 29.3%에 달한다는 점이다. 금리 상승이나 주택가격 하락, 소득 감소 등의 충격이 닥칠 경우 우리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계가구는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아 금융시스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며 “한계가구의 4곳 중 3곳(73%)이 대출상환 부담에 소비지출을 줄이고 있어 민간소비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대혁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