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표초반 패색 당직자들 망연자실
"원칙, 전략없는 공천 자충수" 원성
김한길, 안철수 끝내 상황실에 안 나타나
지도부 책임론 조기전대 압박 거셀듯
7ㆍ30 재보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수도권은 물론 호남 안방까지 내주며 참패함에 따라 김한길ㆍ안철수 공동대표는 사실상 거취를 결정해야 할 입장이 됐다. 이미 6ㆍ4 지방선거 무승부 당시 제기됐던 책임론이 한 차례 유예된 만큼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당내에선 구주류 측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 체제 전환 후 조기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터져 나오는 상황이고, 이와 더불어 잇따른 선거 패배에 따른 위기감에서 야권 세력 자체를 재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질 전망이다.
개표 지켜보던 당직자들 거친 욕설까지
개표 초반부터 새정치연합 후보들의 패색이 짙어지자 국회 대표실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개표 상황을 지켜보던 당직자들은 망연자실한 표정이 역력했다. 전남 순천곡성까지 고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황실에선 거친 욕설마저 흘러 나올 정도로 분위기는 험악했다. 아침 회의 이후 두문불출했던 김한길ㆍ안철수 두 공동대표는 끝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유기홍 당 수석대변인이 밤 늦게 “저희가 여러 가지 부족함을 보여 정부여당을 견제하고자 하는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받아 안지 못했다. 대단히 죄송하다”는 짤막한 공식입장을 내놨을 뿐이다.
당초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현상유지선인 5석에 더해 1,2석을 더 얻길 기대했지만, 이마저도 못 미치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 들자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야당의 안방인 전남 순천곡성까지 새누리당 이정현 후보에게 넘겨준 것은 야권 지지층에서조차 두 대표에 대해 불신임 평가를 내렸다는 점에서 현 지도부 체제는 버티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당내에선 일찍부터 “이번 선거 패배는 김한길 안철수 대표의 원칙도, 전략도 없는 공천 탓”이라는 원성의 목소리가 자자했다. 당장 박근혜 대통령의 잇단 인사 실패와 유병언 사건으로 정부 무능론이 재점화하는 등 야권에 유리한 국면이었는데도, 두 대표가 주도한 서울 동작을과 광주 광산을 전략공천 파동이 불거지면서 호재를 다 깎아 먹었기 때문이다.
당장 당내 다수의 반발을 무릅쓰고 전략공천 한 광주 광산을 권은희 후보의 경우 남편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도덕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수도권 선거까지 악재를 미쳤다는 분석이다.기동민 후보를 전략공천한 서울 동작을의 경우 야권 단일화 과정에서 두 대표가 “당 대 당 연대는 없다”고 선을 그으며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다 결국에는 제1야당이 후보를 내지 못하는 굴욕을 맞기도 했다. 당내 기류를 무시한 채 두 대표가 독단으로 결정한 승부수가 모두 발목을 잡는 자충수로 돌아온 것이다. 특히 전남 순천곡성의 경우 두 대표가 선거운동기간 이례적으로 두 차례나 찾아 지원유세를 펼쳤지만 이정현 후보의 기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김한길 안철수 패배 책임 사퇴론도 제기
친노(친노무현)ㆍ486ㆍ정세균계 등 구주류들은 지도부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조기전대’까지 요구할 태세다. 특히 차기 당권은 2016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는 만큼 모든 계파가 나서 양보 없는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세월호 특별법 제정 및 8월 국감 일정 등을 감안해 당장 조기전대가 가시화하지 않더라도 지도부 리더십 타격은 불가피해 ‘식물 지도부’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당장 통합 이후 공석 상태였던 지역위원장 선출 등 당 조직개편에서 두 대표의 입김은 현저히 약화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 일각에선 두 대표가 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지난 3월 두 대표가 단행한 통합 이후 선거 승리는 물론 당 개혁 작업에서도 별다른 성과물을 내놓지 못했다는 점에서 ‘통합 회의론’이 불거질 수 있다.
이와 맞물려 야권에선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 승리를 위해서라도 근본적으로 야권 세력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총선과 대선,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 재보선까지 연거푸 패배를 하면서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감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정의당과 당 대 당 야권연대에 대한 논의가 최대 이슈로 부상할 전망이다. 당장 선거를 코 앞에 두고 급조한 야권 후보 단일화로 비판 여론이 거셌던 만큼 차라리 당을 합치는 방안 등 야권 재정비에 대한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강윤주기자 k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