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진으로 보는 고3 모의고사 15년…“수능만큼 떨려요”

알림

사진으로 보는 고3 모의고사 15년…“수능만큼 떨려요”

입력
2017.04.12 16:04
0 0

사진 속 학생들이 마치 시험지에 빨려 들어갈 것처럼 집중해서 문제를 풀고 있네요. 이 두 사람 중 한 명은 수학능력시험, 또 다른 한 명은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고사)를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둘 중 누가 수능시험을 보는 학생인지 아시겠나요?

정답은 바로 왼쪽 학생입니다. 왼쪽 사진은 지난 2012년 서울 강남 숙명여고에서 수능시험이 치러지던 당시 찍은 것이고, 오른쪽 사진은 지난 2004년 서울 종로구 풍문여고에서 9월 전국모의고사가 시행되던 당시 촬영한 한국일보 자료사진입니다.

이처럼 많은 고3 학생들이 마치 실제 수능을 치르는 것처럼 진지하게 모의고사를 봅니다. 수험생들이 한 해 치르는 ‘미니수능’은 매년 4~5회. 12일 오늘도 그 중 하나인 경기도교육청 주관 4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시행됐습니다. 이번 시험에는 전국 1,848개교의 49만 3,922명의 고3 학생들이 응시했다고 합니다.

4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치러진 12일 오전 대전 서구 구봉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교시 수학 영역 시험을 보고 있다. 뉴스1
4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치러진 12일 오전 대전 서구 구봉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교시 수학 영역 시험을 보고 있다. 뉴스1

사설모의고사 의존도 낮추기 위해 시작된 시험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지난 2002년, 수험생들의 사설모의고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수학능력시험체제가 도입된 뒤 D학원, J학원 등 사설교육기관에서 개발한 수능모의고사도 등장했는데요. 고3 수험생들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이 모의고사가 인기를 얻으면서 각 고등학교에서는 1년에 4~5번이나 유료 모의고사를 치렀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학생들간 경쟁을 조장한다는 문제제기가 나오면서 교육부는 2001년 교내 사설모의고사를 금지하고 대안으로 학업성취도평가를 마련한 것입니다.

물론 과거 학력평가 시절에도 ‘모의고사’라는 시험 형태는 있었습니다. 바로 아래사진처럼 말이죠.

1993년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고등학생들이 대학별고사 모의평가를 치르고 있다. 이날 서울대는 서울 등 수도권 지역 10개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내신성적 1~2등급 학생 200명을 무작위 선정해 시험을 진행했다. 오대근 기자 inliner@hankookilbo.com
1993년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고등학생들이 대학별고사 모의평가를 치르고 있다. 이날 서울대는 서울 등 수도권 지역 10개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내신성적 1~2등급 학생 200명을 무작위 선정해 시험을 진행했다. 오대근 기자 inliner@hankookilbo.com
1991년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대학 학력고사 모의시험 문제지를 구입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91년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대학 학력고사 모의시험 문제지를 구입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91년 당시 교보문고 사진을 보니, 그때나 지금이나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모의고사 문제집이 중요한 건 마찬가지인가 봅니다.

긴장ㆍ걱정, 실제보다 더 떨리는 모의고사

고등학생들 사이에선 “고3 첫 모의고사 성적이 수능성적이다”는 말이 있습니다. 검증된 말이 아니지만, 모의고사를 치르는 학생들이 집중하게 만드는 데는 특효약이죠.

그래서일까요? 모의고사 날엔 고3학생들의 교실 밖에서도 그 긴장감이 느껴집니다.

2008년 7월 서울 이화여고 학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를 보고 있다. 출입문 유리창에는 ‘공부만이 살길이다’라는 글이 붙어있다. 오대근 기자 inliner@hankookilbo.com
2008년 7월 서울 이화여고 학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를 보고 있다. 출입문 유리창에는 ‘공부만이 살길이다’라는 글이 붙어있다. 오대근 기자 inliner@hankookilbo.com
그림 5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치러진 2013년 9월 서울 종로구 필운동 배화여고에서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김주영기자 will@hankookilbo.com
그림 5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치러진 2013년 9월 서울 종로구 필운동 배화여고에서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김주영기자 will@hankookilbo.com

‘공부했던 부분인데 왜 이렇게 어려울까?’, ‘2번보다 5번이 맞는 것 같은데 답을 바꿔볼까?’ 1시간 남짓한 짧은 시험시간 동안 고3 학생들의 머릿속은 정말 복잡합니다.

2007년 서울 여의도고(왼쪽), 2011년 서울 배화여고(가운데), 2006년 서울 이화여고(오른쪽)의 학생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모의고사를 보고 있다. 왕태석ㆍ김주성ㆍ박서강 기자
2007년 서울 여의도고(왼쪽), 2011년 서울 배화여고(가운데), 2006년 서울 이화여고(오른쪽)의 학생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모의고사를 보고 있다. 왕태석ㆍ김주성ㆍ박서강 기자

시험이 끝나면 공부 잘하는 친구의 시험지를 답안지 삼아 점수를 가늠해 보기도 합니다. 물론 딱히 빼어나지(?) 않은 성적이면서 그냥 서로의 답을 맞춰보고 설전을 벌이는 학생들도 꼭 한 두 명은 있습니다.

2007년 모의고사를 마친 서울 풍문여고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하며 웃고 있다(왼쪽). 2008년 모의고사를 본 서울 여의도고 학생들은 점심시간을 틈타 서로의 답을 비교하고 있다(오른쪽). 손용석ㆍ김주성 기자
2007년 모의고사를 마친 서울 풍문여고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하며 웃고 있다(왼쪽). 2008년 모의고사를 본 서울 여의도고 학생들은 점심시간을 틈타 서로의 답을 비교하고 있다(오른쪽). 손용석ㆍ김주성 기자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1월 16일까지, 고3 학생들은 앞으로 6월ㆍ7월ㆍ9월ㆍ10월 총 4번의 전국단위 모의고사를 봐야 합니다. 시험 하나 보고 숨 돌릴 만 하면 다음 모의고사를 보게 되는 겁니다. 그 동안 얼마나 많이 노력하고 긴장하게 될까요? 주변에 이번 모의고사를 치른 수험생이 있다면 ‘고생많았다’고, ‘앞으로 더 잘 하게 될 거다’라고 응원의 말 한마디를 건네보는 건 어떨까요.

신혜정 기자 aret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