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포항 지진 발생 위치는 지열발전소 500m 근처

알림

포항 지진 발생 위치는 지열발전소 500m 근처

입력
2017.11.23 20:00
1면
0 0

포항 지진 원인 ‘지열발전소’ 의구심도 커져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과 여진의 주요 발생 위치. 기상청 제공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과 여진의 주요 발생 위치. 기상청 제공

기상청은 15일 경북 포항의 규모 5.4 지진의 발생위치를 애초 발표보다 남동쪽으로 약 1.5㎞ 떨어진 지점으로 23일 수정 발표했다. 일부 전문가들이 이번 지진의 원인이라는 주장을 펴왔던 포항 지열발전소와 500m 거리다. 발생 깊이 역시 기존(9㎞)보다 얕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상청은 이날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동으로 포항지진을 정밀 분석한 결과 15일 포항지진의 본진은 원래 발표했던 지점에서 남동쪽으로 약 1.5㎞ 이동한 북위 36.109도, 동경129.366도 지점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의 발생위치는 사용하는 관측자료와 지층의 속도구조뿐 아니라 지진파인 P파와 S파가 도달한 시각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약 2km의 오차를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지진의 발생 깊이 역시 기존의 9㎞보다 지표면과 가까운 3~4㎞ 사이의 위치로 분석됐다. 이는 단층면의 정보에 지진파 속도구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이론적인 합성파와 실제 관측된 지진파를 근접시켜 분석하는 단층면해 방법으로 발생 깊이를 분석한 결과다. 다만,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수소(NIED)는 5㎞,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11.5㎞로 분석해 깊이 평균값은 3~7㎞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지진 발생 위치가 포항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건설중인 지열발전소 500m 근처 지역으로 변경된데다 발생 깊이도 얕아지면서 이번 지진의 원인이 지열발전소 때문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다시 커지고 있다. 그간 지진 원인을 지열발전소로 지목해왔던 이진한 고려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열발전소는 지하 4.5km 내외에 물을 주입해 지열을 이용하는 방식인 만큼 진원이 얕아진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지열발전소와의 연관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던 지진 전문가 일부도 가능성을 다소 열어두는 모습이다.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정황상 이번 지진과 지열발전소가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 건 맞다”면서 “물론 관련 자료를 보고 좀더 정밀하게 지진의 발생 원인을 따져봐야지 지금 당장 지열발전소가 원인이다 아니다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역시 “처음엔 지질연구소와의 연관 가능성이 낮다고 봤는데 최초 진앙 위치가 지열발전소와 가까워지면서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열발전소로 인한 땅속의 압력이 규모 5.4의 지진을 발생시키기엔 부족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꼽긴 어렵다는 반박은 여전히 우세하다. 미국 셰일가스 산업의 중심부인 오클라호마주가 채굴 이후 잦은 지진이 감지되고는 있다지만, 셰일가스 시추와 비교하면 현저히 압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정상용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는 “지열발전소로 인해 주변에서 미세지진이 일어날 수는 있으나 포항 지진의 규모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본부장도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량에 따라 발생가능한 지진 규모가 달라지는데, 포항 본진 정도의 지진이 발생하려면 현재 포항 지열발전소의 주입량보다 훨씬 커야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의구심이 갈수록 커지자 해외 전문가들에게 정밀진단을 의뢰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진과 지열발전소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정밀진단을 객관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국내 전문가가 아닌 해외 전문가에게 의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가 지열발전 실증연구개발사업으로 시작된 지열발전소는 2012년 9월 공사를 시작해 물을 넣는 지하 4,348m의 주입정과 물을 빼내는 지하 4,362m의 생산정 등 2개의 시추공 공사를 2016년 11월 완료했다. 지열발전소는 주입정으로 물을 주입해 땅 속에서 물이 데워지면 여기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터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한준규 기자 manbo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