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드, 안보차원 수용” “안전성ㆍ여론수렴 미흡” 교차

알림

“사드, 안보차원 수용” “안전성ㆍ여론수렴 미흡” 교차

입력
2016.07.24 14:03
0 0

전반적으로 도입 반대가 많아

성주배치 확정 13일 큰폭 증가

후보지역ㆍ정치인도 잦은 언급

“국민들의 불신감 탓하기 전에

합리적 근거 제시가 우선돼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논란이 여전히 뜨겁게 진행 중이다. 2013년 사드도입에 대한 논의가 처음으로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다각적인 차원에서 도입의 필요성과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여전히 맞서고 있다. 도입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북한의 핵 개발 및 미사일 발사 실험이 거듭되면서 현실화한 안보 위협을, 반대하는 입장은 실질적 효과와 안전 문제를 주요 이유로 들고 있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주요한 쟁점들이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주변국들에 미치는 파장이 작지 않기에 더더욱 복잡한 양상 속에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7월 8일 정부에 의해 사드 도입이 공식적으로 발표되면서 논란은 심각한 갈등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번 ‘빅데이터로 세상읽기’에서는 사드도입 및 배치에 대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들의 생각을 살펴보기로 한다.

‘성주’ 발표 후 부정적 여론이 급증

분석을 위해 7월 4일부터 22일까지 약 3주간 ‘사드’ ‘사드배치’ 등을 키워드로 하여 트위터와 블로그에서 언급된 내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드 관련 버즈(buzzㆍ언급단어)를 감성분석 및 찬성과 반대 관련 키워드들과의 결합을 통해 분류한 후, 시간적 추이를 살펴봤다.

전반적으로는 사드 도입 및 배치에 대해 반대하는 여론이 찬성하는 쪽보다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여론 추이의 측면에서 보면, 반대 입장의 경우 크게 3가지 변곡점이 나타났다. 먼저 7일까지 사드와 관련하여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던 그래프가 공식적으로 정부의 도입이 발표된 8일부터 급속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두 번째 변곡점으로 나타난 13일에 가장 두드러진다. 13일은 정부에 의해 경북 성주군의 공군 방공부대인 성산포대로 배치지역이 발표된 날이다. 또 세 번째 변곡점인 18일은 성주군민들을 중심으로 반대집회가 계속되고, 사드의 전자파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괌의 사드 포대가 언론에 공개된 날이었다.

사드배치가 성주로 발표된 13일에 부정적 의견이 가장 많았던 것은 기본적으로 사드에 대한 반감과 함께, 지역이 결정되면서 배치가 현실화되었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도입 결정 이후 배치지역의 선정이 너무 급속하게 이루어졌다는 점 또한 합리적 결정이었는지에 대한 강한 의구심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소통부재가 갈등 증폭

이번에는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언급된 버즈들을 추출 후 분석하여 어떤 내용이 연관되어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인 ‘성주’를 비롯하여 찬성과 반대 입장 모두에서 나타난 단어들은 ‘정부’와 ‘국민’ ‘주민’ ‘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또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이해가 엇갈리는 ‘미국’과 ‘중국’, 초기부터 도입의 불가피성을 주장한 ‘유승민’ 의원, 또 같은 취지의 당론을 정한 ‘새누리당’과 함께 실익 있는 사드 배치라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김종인 대표의 ‘더민주당’도 찬반입장 모두에서 많이 언급되었다.

사드 배치를 찬성하며 언급된 버즈에는 이전에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었던 ‘음성’ ‘평택’ ‘원주’ 등과 함께 ‘TK’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적극적 수용을 촉구하는 내용이 많이 언급되었다. 사드도입은 찬성하면서 자신의 지역에 배치를 거부하는 것은 명분이 없다는 ‘후안무치’론이나 향후 해당 지역의 개발과 보상의 차원에서 ‘선물’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반면 반대 입장에는 기본적으로 안전에 대해 우선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전자파’가 가장 빈번히 등장하였다. 아울러 전반적인 과정이 충분한 논의 없이 ‘강행’되어 과거 ‘강정’에서 벌어졌던 ‘해군기지’설치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갈등이 반복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컸다. 또 사드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국민의 당’과 함께 최근 총리의 성주 방문 시에 벌어진 폭력사태의 책임소재와 관련하여 ‘외부’ 세력의 ‘개입’은 없다는 입장도 높은 비중으로 언급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현재 나타나고 있는 사드와 관련한 쟁점들은 북한의 현실적 위협이라는 근본 과제와 함께 주변국들의 이해관계, 사드체계의 효과성 및 안전성, 그리고 배치 지역의 선정과 관련한 문제까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SNS에 나타난 여론에서도 사드 도입 및 배치를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국가안보의 필요에 의해 불가피한 결정이 이루어진 만큼 다소의 어려움이 존재하더라도 대승적인 차원에서 수용해야 할 것이라는 점이 부각되었다. 반면, 반대쪽에서는 사드 배치의 유효성과 국민 안전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지만, 무엇보다도 도입 결정과정에서의 판단의 근거와 여론 수렴 과정에 대한 지적이 두드러졌다.

분석을 통해 느껴지는 안타까움은 소통에 대한 부분이다. 미래에 대한 예측은 누구나 어렵기에 입장에 따라 서로 주장하는 내용은 다를 수 있다. 문제는 논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정부의 결정을 신뢰하지 못하는 국민을 탓하기 전에 납득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의 제시가 우선되어야 한다. 오해라고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오해가 빚어진 그 지점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만이 정부와 국민 사이에 반복되는 불신의 순환 고리를 끊는 길일 것이다.

---------------------

* 데이터 출처: 조사전문업체인 닐슨코리안클릭(koreanclick.com)의 버즈워드(Buzzword)데이터를 이용함. 분석에 활용한 트위터 데이터는 2016년 7월 4일 ~ 2016년 7월 22일까지를 대상으로 2,222만개 이상의 계정에서, 블로그 데이터는 같은 기간 1,163만개 이상의 계정에서 추출함.

배영(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