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11월, 자발적 전국 항쟁에 대한 가장 생생한 기록

알림

11월, 자발적 전국 항쟁에 대한 가장 생생한 기록

입력
2017.01.13 15:43
0 0
1960년 4ㆍ19처럼, 2016년은 ‘11월’로 기억될 것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60년 4ㆍ19처럼, 2016년은 ‘11월’로 기억될 것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1월, 광장은 뜨거웠다. 이보다 더 들끓던 광장이 유사 이래 어디에 또 있었을까. 저 역사적인 광장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했다는 사실이 새삼 뿌듯하다. 무려 100만분의 1, 200만분의 1이었지만, 그들 중 하나인 내가 스스로 얼마나 대견하던지. 그 실감이 아직도 몸 속을 데우는데 ‘2016년 11월’을 기록한 책, ‘11월 –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11월’)가 나왔다. 지금 여기의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11월’은 식지 않은 촛불 열기처럼 뜨겁고 생생하다.

물론, ‘11월’만이 아니라, 당대의 현장을 기록한 글들은 대체로 생생하고 뜨겁다. 아마도 어떤 분출의 현장을 가슴으로 담아서 그럴 것이다. 생생하게 뜨겁고 또 아프다. 근래 나온 세월호 참사 관련 기록물들인 ‘금요일엔 돌아오렴’이나, ‘다시 봄이 올 거예요’(창비)를 보라. 얼마나 뜨겁게 아픈가. 난 차마 이 애터지는 글들, 찬찬히 읽지 못한다. 듬성듬성 넘기다가 이내 덮고는 쓰다듬을 따름이다. 처연하게 아프고 쓰려서 제대로 읽어나갈 수가 없다.

생각해보니, 르포라는 이름으로 씌어진 현장의 글들은 이처럼 거의 다 뼈저리다. 얼마 전에는 르포선집 ‘민중을 기록하라’(실천문학사)를, 덜덜 떨리는 손으로 읽었다. 한국현대사를 가로지르는 서럽고 안타까운 분노의 현실이 날것의 응축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11월 시민항쟁을 기록한 책, ‘11월’은 어떤가. 통쾌하다. 통쾌해서 눈물겹다. 촛불 하나하나가 모여 이룬 광장의 힘이 어떻게 11월을 달구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이 책 첫째 장의 제목처럼 광장에 모인 시민들이 ‘몸으로 써내려 가는 희망의 시’가 오롯이 담겨 있다.

하지만 ‘11월’을 온전한 형태의 르포라고 하기는 어렵다. 11월을 엮어간 다양한 기록물들의 순간적인 집적이라고 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 각 지역 집회를 스케치한 글들과 함께 다양한 사진들, 풍자적인 그림들, 각 단체의 성명서들이 뒤섞여 들어 있다. 이런 면 때문에, 11월이라는 떨림을 넘어서는 르포로서의 울림은 설핏하다 여길 수도 있겠다.

한데 왜일까. 광장이 만들어내는 무질서 속 질서와도 같은 묘한 동질감이 느껴져서 그럴까. 희한하게도 ‘11월’에는 이런 구성이 더 어울려 보인다. 어쩌면 이는 당연한 선택일지도 모른다. “2016년 11월이 훗날 어떻게 평가되든 가장 질박하고 생동감 있는 목소리들을 문자로 모아놓아야 할” 절박함에서 탄생한 책이 ‘11월’ 아닌가.

나는 이 절박함이 “이 책의 몇몇 필자들이 거듭하여 말하고 있듯” “단일한 한 덩어리가 아니라 많은 이질적인 분자들이 모인 현장”인 “광장의 함성”을 기꺼이 혼재할 수 있도록 이끌었으리라 짐작한다. 그러니 필연적으로 이 책은, “각자 다른 입장에서” 보는 “2016년 11월 항쟁의 의미”와 그 “항쟁이 있기까지 대체 어떤 일이 있었는지”(이상 ‘기획의 말’에서 가려 뽑음)를 기록하는 혼융의 행보를 뗄 수밖에는 없었을 것이다.

나는 ‘11월’의 이와 같은 혼융의 행보 중에서도 특히 ‘자발성’이라는 발언들에 주목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감동하는 지점이 바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이다.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겠다, 나 하나라도 나가서 촛불 들어야겠다”는 자발적 발걸음이 광장을 들뜨게 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광장은 ‘세상 어디에도 없었던 민주주의 체험 교육 실현의 장’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런 특성이 있어 일각에서는 11월 항쟁을 무혈혁명이라 부르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움직임이 있다. 자각된 민주 실천 열망의 전국성이다. 이 역사적인 민주주의 체험학습의 장관이 광화문광장에서만 펼쳐진 게 아니었던 것이다. 촛불이 켜진 전국의 모든 광장과 거리에서 자발적 민주주의가 활활 타올랐음을, ‘11월’은 각 지역의 외침을 담아 증거하고 있다.

내 관심의 기조가 이처럼 흘렀다고 해서 이 책에 실린 다른 항목들이 헐거울 거라고 지레짐작하면 안 된다. 현장의 함성을 담고 있는 사진들은 뭉클하고, 신랄한 풍자와 위트를 곁들인 그림들은 결의에 차 있다. ‘블랙리스트’ 예술가들이 점거한 광장 텐트촌 소식도 뜻 깊은 퍼포먼스다. 이들의 발랄한 상상력으로 감싼 광장에서 밤의 촛불이 빛난 것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부록으로 실린 시국선언문들도 눈 기울여 읽을 필요가 있다. 저 수많은 목소리들이 함께하여 비로소 11월 광장이 활짝 열린 것이다.

그러나 이 책 ‘11월’은 이제 첫 걸음에 불과하다. 앞으로 더 많은 기록물들이 다양한 형태로 쏟아져 나와야 한다. 기록해야 살아남는 역사가 된다. 모든 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옴을 뜨겁게 증명한 촛불 시민항쟁도 예외는 아니다. ‘11월’과 같은 기록물들로 담겨져야 ‘살아 있는 민주주의 교과서’로 오랫동안 인류를 흥분시킬 수 있다.

시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