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뷰엔] 집집마다 메뉴 ‘복붙’… 광장시장은 ‘마약김밥천국’

입력
2019.12.05 04:40
수정
2019.12.05 07:53
16면
0 0
광장시장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마약김밥이 큰 인기를 얻자 마약김밥과 연관이 없는 음식점들이 너도나도 마약김밥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먹거리 거리에 자리한 음식점에 머릿고기와 함께 마약김밥이 진열돼 있다.
광장시장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마약김밥이 큰 인기를 얻자 마약김밥과 연관이 없는 음식점들이 너도나도 마약김밥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먹거리 거리에 자리한 음식점에 머릿고기와 함께 마약김밥이 진열돼 있다.
순대 옆에 포장된 마약김밥이 쌓여 있다.
순대 옆에 포장된 마약김밥이 쌓여 있다.
대량으로 만들어진 김밥이 놓여 있다.
대량으로 만들어진 김밥이 놓여 있다.

광장시장에 가면 꼭 먹어야 한다는 ‘마약김밥’. 당근과 단무지 등을 넣은 꼬마김밥에 겨자소스를 곁들이는 독창적인 구성으로, 한번 먹어보면 그 맛을 잊지 못한다 해서 ‘마약’이라는 표현까지 붙었다. 이름난 음식이 대부분 그렇듯 맛을 보려면 긴 대기 줄을 각오해야 하나 싶지만 광장시장 마약김밥은 다르다. 좁은 통로를 따라 자리 잡은 순대 노점부터 빈대떡집, 국밥집, 보리밥집까지 어디서나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일보 ‘뷰엔(View&)’팀이 2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내 먹거리 골목을 조사해 보니 노점을 포함한 전체 116개 점포 중 절반에 달하는 53곳에서 마약김밥을 팔고 있었다. 이 중 44년째 영업 중인 ‘모녀김밥’ 등 마약김밥 전문점 7곳과 분식집 22곳을 제외하면 24곳이 김밥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전문 음식점이었다. 빈대떡집도 16곳이나 됐다. 어찌 된 일일까.

모녀김밥 대표 유지풍(52)씨는 “2호점을 낸 2011년쯤 언론에 소개되고 입소문을 타면서 시장 곳곳에 마약김밥이 퍼지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 후 SNS를 통해 알려지고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찾다 보니 마약김밥을 놓고 파는 음식점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보리밥 전문 노점을 운영하는 조향(61)씨는 “손님들이 언제부턴가 ‘마약김밥은 없다’고 하면 그냥 나가 버리는 통에 어쩔 수 없이 들여놨다”면서 “광장시장에서 한 가지만 하는 집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광장시장에서 유명 원조 음식을 주변 식당들이 따라 파는 경우는 마약김밥뿐만이 아니다. 육회나 육탕탕이(육회+낙지탕탕이), 빈대떡 역시 시장 곳곳에 ‘약방의 감초’ 수준으로 널렸다. 최근 점포에 작은 수족관을 설치한 김성윤(49)씨는 “몇 년 전 중국 예능 프로그램을 우리 시장에서 찍었는데 그 뒤로 낙지탕탕이(산낙지회)를 찾는 중국 관광객이 많아져서 낙지를 시작했다”며 “손님들이 찾으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김씨의 노점은 순대국밥 전문이다.

광장시장 먹자골목 내 마약김밥 판매현황
광장시장 먹자골목 내 마약김밥 판매현황
한 점포에 마약김밥 판매를 알리는 팻말이 붙어 있다.
한 점포에 마약김밥 판매를 알리는 팻말이 붙어 있다.
보리밥 전문점의 메뉴판. 마약김밥(붉은 원 안)이 빠질 수 없다.
보리밥 전문점의 메뉴판. 마약김밥(붉은 원 안)이 빠질 수 없다.
빈대떡집의 메뉴판. 마약김밥(붉은 원 안) 뿐만 아니라 육회와 낙지회도 판매한다.
빈대떡집의 메뉴판. 마약김밥(붉은 원 안) 뿐만 아니라 육회와 낙지회도 판매한다.
빈대떡집 앞에 취급 메뉴가 진열돼 있다. 빈대떡, 육회, 낙지탕탕이는 광장시장 대표 메뉴다.
빈대떡집 앞에 취급 메뉴가 진열돼 있다. 빈대떡, 육회, 낙지탕탕이는 광장시장 대표 메뉴다.
보리밥집에 낙지를 보관하는 수족관이 설치돼 있다.
보리밥집에 낙지를 보관하는 수족관이 설치돼 있다.

물론 고객 입장에서는 이 같은 메뉴 ‘복붙(복사 붙이기)’ 덕분에 발품을 팔지 않고도 이름난 음식을 다양하게 맛볼 수 있어 나쁘지 않다. 그러나 음식점에 따라 특유의 맛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전통시장만의 매력이 퇴색하고 있는 점은 아쉽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광장시장을 찾는 이유가 표준화된 프랜차이즈 음식점과 달리 점포마다 차별화된 손맛 때문인데 시장 어디서나 마약김밥을 판다면 만족도가 떨어져 일회성 방문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맛의 하향 평준화도 문제다. 마약김밥을 파는 음식점 중엔 직접 조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장에서 생산한 김밥을 납품받는 곳이 적지 않다. 일부는 손님이 찾을 때에만 옆집에서 빌려서 내놓기도 한다. 문제는 아무리 조리 과정이 간단한 음식이라 해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드는 김밥과 원조의 맛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여자친구와 함께 광장시장을 찾은 김원기(34)씨는 “마약김밥을 먹으러 자주 오는데 직접 싸 주는 단골집 외에는 별로 맛이 없다. 미리 싸서 포장해 둔 걸 주니까…”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음식의 맛을 평가하는 데 있어 소비자가 공급자보다 우위에 있게 마련인데, 공장에서 만든 음식을 공급하는 방식이 계속될 경우 소비자들이 외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약김밥을 비롯한 몇몇 유명 음식의 복붙 현상은 남들이 흉내 내지 못할 맛과 정체성으로 승부를 걸기보다 ‘온 김에 먹어나 보자’는 관광객의 심리를 이용한 상술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용재 음식평론가는 “이런 현상은 세계 주요 관광지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유명 관광지일수록 음식이 본연의 맛보다 경험과 인증의 수단이 되는 경향이 뚜렷한데 광장시장도 비슷한 경우”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조리 과정이 간단해 복제가 매우 쉽다는 점과 생존에 목맬 수밖에 없는 상인들의 현실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광장시장은 ‘마약김밥천국’으로 변해 가고 있다.

복제 메뉴로 손님을 잡아 두는 대신 자기 점포만의 음식을 고집스럽게 지켜 가는 경우도 광장시장에는 적지 않다. 45년째 육회 전문점을 운영해 온 A씨는 “마약김밥이나 다른 음식을 찾는 손님이 적지 않지만 여기저기 다니면서 다양한 음식을 먹고 식당마다 색다른 분위기를 즐기는 게 맞는 것 같아 육회 관련 음식 외에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모녀김밥 유 대표는 “마약김밥을 파는 집이 많이 생겼고, 심지어 ‘원조’라고 내세우는 집도 여럿이지만 ‘다 같이 오래가야 한다’는 생각에 개의치 않는다. 다만, 손님들이 ‘마약김밥 맛이 별로’라는 인식을 갖지 않도록 모두 맛있게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주영 기자 will@hankookilbo.com

박서강 기자 pindropper@hankookilbo.com

그래픽=강준구 기자 wldms4619@hankoolilbo.com

윤소정 인턴기자

한 분식점 앞에 마약김밥이 진열돼 있다. 뒤쪽으로 보이는 것은 닭발볶음이다.
한 분식점 앞에 마약김밥이 진열돼 있다. 뒤쪽으로 보이는 것은 닭발볶음이다.
마약김밥을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곳도 있지만 많은 수의 점포가 제조업체를 통해 공급받아 판매한다.
마약김밥을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곳도 있지만 많은 수의 점포가 제조업체를 통해 공급받아 판매한다.
한 점포 앞에 가지런히 쌓여 있는 마약김밥.
한 점포 앞에 가지런히 쌓여 있는 마약김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