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공식화한 ‘한미 원전동맹’… 소형모듈원전 개발ㆍ수출 가속화 전망

알림

공식화한 ‘한미 원전동맹’… 소형모듈원전 개발ㆍ수출 가속화 전망

입력
2022.05.21 23:00
0 0

尹ㆍ바이든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차세대 먹거리 SMR 개발·수출 협력키로
정부 지원에 민간 투자 활성화해 업계 기대↑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한미 정상 공동기자회견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한미 정상 공동기자회견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양국 정상이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및 수출에 협력하기로 합의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원전최강국’ 구상의 핵심축 중 하나인 ‘한미 원전동맹’이 공식화했다. 삼성 등 국내 대기업이 앞선 SMR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한 것과 더불어 원전업계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윤 대통령은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신형 원자로 및 SMR의 개발과 수출 증진을 위해 양국 원전 산업계가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양 정상은 원자력을 탄소제로 전력의 핵심ㆍ신뢰 원천이자 청정에너지 경제 성장의 주요 요소, 글로벌 에너지 안보 증진의 필수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원자력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원자력) 수출 진흥과 역량개발 수단을 공동 사용하고 회복력 있는 원자력 공급망 구축으로 선진 원자로 및 SMR 개발과 전 세계 배치를 가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한미 당국은 정상회담 전부터 SMR 기술 협력과 한미 원자력고위급위원회(HLBC) 재가동, 해외 원전시장 공동 진출 등을 양국 정상 합의문에 담는 방안을 조율해왔다. 실제 이날 공동선언문에는 '한미 원전 기술 이전 및 수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제3국의 원전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고 HLBC를 재가동해 원자력 제반 분야에 대해 협력하기로 한 내용이 담겼다. HLBC는 2018년 8월 2차 전체회의 개최 이후 현재까지 열리지 않고 있다.

SMR은 기존 대형 원전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기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소형 원자로다. 출력은 300㎿ 안팎으로 기존 원전의 3분의 1 수준이다. 안정성이 높고 도서ㆍ산간 지역에도 건설할 수 있어 미래 에너지 시장의 대체제로 꼽힌다.

이번 정상회담 의제로 SMR 등 원전 관련이 포함된 건 양국이 기존의 정치ㆍ군사적 동맹 관계에서 기술ㆍ경제 분야를 아우르는 이른바 ‘경제ㆍ기술 동맹’으로 한 발 더 나가기 위한 과정의 일환이다.

당초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 중 ‘탈원전 정책 폐기, 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 부분에서 △한미 원전동맹 강화 △SMR분야 한미 협력 구체화 △파이로 프로세싱 한미공동연구(JFCS) 마무리 및 향후 계획 대미 협의 등 원자력 협력 외교 강화 기조를 밝힌 바 있다.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과 설계 분야에서의 원천 기술과 우리나라의 원전 시공 능력 등이 결합하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새 정부의 지원 약속에 발맞춰 민간 기업들도 SMR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투자에 나섰다.

SK그룹은 이달 17일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테라파워 측과 포괄적 사업 협력에 필요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테라파워의 차세대 SMR 기술 및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역량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테라파워는 차세대 원자로 중 하나인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GS에너지와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도 지난달 26일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전 세계에 SMR 발전소를 건설, 운영하는 사업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 뉴스케일파워는 2020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유일하게 설계인증을 받은 곳으로, 2029년 미국 아이다호주에서 SMR 발전소 상업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엑스에너지가 개발 중인 고온가스형 SMR의 주기기 제작 설계를 맡고 있고, 국내에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약 10년 전 SMR의 초기 모델인 스마트 원전을 설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 개발에 나선 상태다.

한 원전업계 관계자는 “한미 양국 정상이 정책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지난 정부 시절 위축됐던 원전업계가 되살아나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다.

안아람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