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갈등, 차별 해소 위한 정책 개발에 공감
"의견 수렴해 여가부 역할과 기능은 이어갈 것"
젠더갈등 해소를 강조해 온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2030 청년들과 젠더갈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김 장관은 청년들이 실생활에서 겪었던 젠더갈등과 차별적 경험들을 공유하며 필요한 정책을 이야기할 때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여가부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폐지 의견은 변함이 없다"고 했다.
1일 여가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전날 오후 8시 서울 중구 소공동에서 열린 '청년과 함께하는 타운홀 미팅'에서 여가부 폐지가 아닌 성평등 기능 강화를 고려해 달라는 20대 남성 A씨의 질의에 "인사청문회와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듯 여가부 폐지(방향)에 대해서는 변함이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다"면서 "대신 하고 있던 역할과 기능은 없어질 수 없어 어떻게 해낼지는 전략추진단을 만들어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2030, 여전한 성별 고정관념 지적...젠더갈등 왜곡 의견도
23명의 참가자들은 일상에서 겪은 성차별적 경험을 털어놓으며 여전히 사회적으로 성별 고정관념이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30대 여성 사업가 B씨는 "'남자 대표는 없나?' '일하면서 애는 누가 보는가'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다 보니 이젠 웃어넘기는 상황"이라며 "지역으로 갈수록 여성들의 정서적 독립이 더 어렵다"고 했다. 30대 남성 C씨는 "직장에서 남직원 아무도 육아휴직을 생각하지 않고 있다"면서 "인사담당자에게 문의하면 '집에 도와줄 사람 없냐'는 말이 돌아온다"고 토로했다.
성별 고정관념과 이로 인한 차별이 경제·사회적 문제와 결합해 젠더갈등으로 번지고, 미디어 등이 이를 입맛에 맞게 이용해 심화시키는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20대 남성 D씨는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은 특정 이슈가 아니라 다양한 이슈와 연결돼 있는데도 지난 대선 때처럼 젠더나 성별 이슈로 설명돼 아쉬웠다"고 했다. 30대 직장인 E씨도 "젠더갈등이 주목받는 것은 상업성 짙은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등이 원인"이라며 "젠더갈등 소재의 자극적 콘텐츠, 표현에 대해 제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데이트 폭력이나 불법촬영 등 주로 여성이 피해자인 범죄에 대해서는 젠더갈등의 결과물이 아닌 여성 폭력이자 범죄라고 명확히 표현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20대 여성 F씨는 "불법촬영 문제가 불거져 공공화장실도 맘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피해자 대다수가 여성인 연구 결과들을 보면 이건 갈등이 아닌 폭력"이라고 했다. 남성 G씨도 "폭력과 범죄를 갈등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이 같은 청년들의 의견에 공감을 표하며 정책적 노력을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여가부 폐지 의지는 거듭 반복했다. 그는 "폐지에 대한 제 입장이나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충분한 의견을 들어 기능이나 역할에 대해서 어떻게 할지 안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더 갈등이지만 소외된 성소수자
이날 타운홀 미팅의 주제는 젠더갈등이었지만 성소수자 등 남성과 여성을 제외한 젠더에 대한 고려는 보이지 않았다. 여가부는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양성평등문화추진단과 청소년특별회의 등을 통해 청년 23명을 모집했는데, 사회적 성인 젠더를 생물학적 성인 성별로 치환해 남성과 여성의 비율만 맞췄다. 여가부 관계자는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성별, 나이, 직업, 지역 등을 고려하며 구성하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권수현 젠더정치연구소 대표는 "성비 균형을 맞추기는 했지만 여성과 남성 내에 다양성이 존재하는데 그런 다양성을 포괄하려 했는지 모르겠다"면서 "다양성이 보장되지 않은 모임에서는 일부의 목소리만 과대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