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돌풍과 눈보라 치는 밤이 지난 후

입력
2024.12.08 22:00
26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매서운 눈바람을 이기지 못해 쓰러진 나무들이 여기저기 나뒹굴었다. 급경사지에 서서 위태롭게 큰 몸을 지탱해온 고목들이 대부분이었다. 지난여름 가지마다 까도토리 열매를 가득 달고 있던 갈참나무 줄기가 맥없이 찢겨 산책로를 가로막고 있었다.

밤새 얼마나 많은 눈이 퍼부은 걸까. 눈보라가 지나간 숲은 엊저녁 고즈넉하던 늦가을 풍경을 통째 잃은 모습이었다. 툭툭 부러진 잔가지들, 눈에 파묻혀 한쪽으로 누운 키 작은 수풀들, 얕은 뿌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쓰러진 큰 나무와 그로 인해 갈라지고 엉켜버린 서로 다른 수종들···.

돌풍이 불어와 300년 넘은 팽나무를 쓰러뜨렸던 어느 여름이 떠올랐다. 학교로 가는 길. 우리 동네와 이웃 동네 중간쯤에 있던 팽나무는 그 자체로 풍경이고, 전설이고, 온갖 상상을 자아내는 은유였다. 아이들 두 명이 양팔 벌려 감싸안아도 서로의 손가락이 닿지 않던 그 팽나무 중간쯤에는 커다란 구멍이 나 있었다. 누군가는 굴처럼 시커먼 그 구멍 안에 똬리를 튼 구렁이를 보았다고 했고, 또 누군가는 그믐달이 뜨는 밤에만 팽나무 구멍에 나타나는 그 구렁이가 산 넘어 금당 저수지에 사는 이무기라고 했다. 금당에서 잉어와 가물치를 잡아먹으며 천년이나 용이 되기를 소망했지만 끝내 이무기로 남은 그 뱀이, 한 달에 한 번 땅 밑으로 이어진 굴을 따라 팽나무로 와서 그믐달을 올려다보며 새벽까지 울다 간다고 했다. 말 지어내는 재주가 용하던 동네 아주머니도 거들었다. 그이는 산 중턱에 사는 무당이 작년에 죽은 동네 아이를 그 팽나무 구멍 위에 앉혀놓고 남몰래 굿판 벌이는 걸 자기 눈으로 똑똑히 보았다고 동네방네 떠들어댔다.

하필 팽나무 건너편에 있던 상엿집 때문이었을 것이다. 땅 밑에 이무기 전용 길이 있을 리 만무하다고, 그 아주머니야 본래 소문난 허풍쟁이라고 코웃음 쳤지만 저녁 무렵 혼자 팽나무 길을 지나치려면 보통 용기가 필요한 게 아니었다. 50m쯤 전부터 심호흡을 하고 달려서 팽나무를 훌쩍 지나쳤다. 심장이 방망이질 칠 때까지 달리고 난 후에는 오늘 하루도 무사했구나, 습관처럼 팽나무 쪽을 향해 고개를 숙였다.

그 팽나무가 한밤 돌풍에 넘어갔다고 했다. 논 아래로 처박힌 팽나무 주위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겁에 질린 어른들은 젖은 눈가를 닦고, 초록 열매로 빼곡한 팽나무 가지를 꺾으며 아이들은 낄낄낄 웃어댔다. 쓰러진 후에야 전모를 드러낸 거뭇한 구멍은 터무니없이 얕았다. 뽑힌 나무뿌리 아래에는 이무기 길은커녕 두더지 굴도 보이지 않았다. 허무했다. 돌아보면 그건, 낡아 버린 한 시대의 종장 같은 풍경이었다. 어른들은 그 자리에 어린 은행나무 세 그루를 심었다. 그 나무들이 아름드리 거목으로 자란 지금 팽나무 전설을 이야기하는 이는 거의 없다.

산책로를 가로막은 갈참나무 줄기를 조심조심 들어 길가로 옮겼다. 널린 잔가지들까지 주워 숲으로 던지고 나니 비로소 길다운 형태가 드러났다. 며칠 지나면 전문가들이 와서 상처 난 숲을 말끔하게 치료해줄 것이다. 노련한 그 손을 거치고 나면 내년 봄 이곳 풍경은 또 새로워지겠지. 하기야 숲이 아름다운 건 쉼 없이 죽고 사는 생물들 덕이다. 천년 묵은 이무기처럼 고여 있는 이야기는 또 얼마나 지루한가. 돌풍도 눈보라도 제 역할이 있다.


지평님 황소자리 출판사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