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를 앞두고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국립중앙의료원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의 영결식이 10일 열렸다. 국내 중증 외상환자 치료시스템 구축에 헌신했던 윤 센터장은 설 전날 저녁 병원 집무실에서 응급의료 서류가 쌓인 책상 앞에 앉은 상태로 숨져 있었다. 일주일에 한 번 귀가할까 말까 할 정도였던 그는 설 귀성을 약속해놓고 연락이 끊기자 뒤늦게 병원으로 찾아간 가족에게 발견됐다. 이보다 며칠 앞서 인천 가천대 길병원 당직실에서도 꼬박 하루 이상 근무한 30대 전공의가 숨진 사건이 있었다.
과로사로 추정되는 두 사건은 국내 의료 현장의 열악한 노동 조건을 새삼 되돌아보게 한다. 특히 윤 센터장의 비보는 그가 국내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기 위해 자청해서 혼신의 힘을 다해왔다는 점에서 비통한 일이다. 왜 진작 이런 노동이 ‘그’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것이 되지 못했을까. 과거보다 나아졌다지만 외상환자 응급시스템 개선은 왜 지지부진한 걸까. 이국종 아주대 교수가 고인을 기리며 “천신만고 끝에 확보한 예산이나 정책 지원 등이 의료 현장에서 병원들이나 때로는 의료인들의 이권 속으로 타들어가는 것을 보면서 그는 자기 몸뚱이가 타 들어가는 것과 같은 고통 속에서 살았다”고 한 말을 되새겨야 한다.
길병원 전공의의 죽음 역시 의료 현장의 구조적 문제다. 이 전공의는 숨지기 전 24시간을 근무했고, 이어 12시간을 더 근무하기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관련법에 따르면 전공의는 연속해서 36시간 넘게 수련시켜서는 안 된다. 하루 12시간 이상의 연속 노동이 과로사 판단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법규가 상시적인 과로를 허용해 의료인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꼴이다.
꺼져가는 생명을 살리고, 고통 받는 환자를 구하는 의료인의 사명감과 직업 정신은 지난해 말 정신질환자 손에 희생된 의사 임세원씨의 경우에서도 보듯 숭고하다. 하지만 이런 열정과 책임감에 대해 ‘우리가 명절에 쉴 수 있는 것은 이들의 희생 때문’이라는 식의 상투적 감상에만 머물러선 곤란하다. 의사는 물론 모든 노동자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일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 조직 관행과 문화를 어떻게 바꿔가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