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물방울 그림 속에 숨은 달마대사...“아버지의 침묵 탐구”
알림

물방울 그림 속에 숨은 달마대사...“아버지의 침묵 탐구”

입력
2022.09.22 04:30
21면
0 0

다큐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김오안, 브리지트 감독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의 김오안(왼쪽), 브리지트 부이요 감독. 김창열 화백의 둘째 아들인 김 감독은 "아버지의 끈기와 인내가 저의 작품 활동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영화사 진진 제공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의 김오안(왼쪽), 브리지트 부이요 감독. 김창열 화백의 둘째 아들인 김 감독은 "아버지의 끈기와 인내가 저의 작품 활동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영화사 진진 제공

50년 동안 물방울만 그렸다. 도를 닦듯 그려낸 그림들은 세상의 눈을 사로잡았다. 미술과 가깝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이미지가 됐다. 김창열(1929~2021) 화백의 생은 남달랐다. 그는 어떤 삶을 살았기에 물방울 그림만으로 거장의 자리에 이르렀을까. 다큐멘터리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28일 개봉)는 김 화백의 삶과 작품 세계를 탐색한다. 김 화백의 둘째 아들 김오안 감독, 브리지트 부이요 감독이 공동 연출했다. 19일 오후 서울 신문로 한 공유오피스에서 두 사람을 만났다.

김 감독은 프랑스 파리에서 나고 자랐다. 파리고등미술학교와 파리고등음악원에서 사진과 작곡을 전공했고 사진작가 겸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 개인전을 약 20차례 열었고 단편영화를 만들었다.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기도 하다.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는 김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이다. 그는 촬영과 음악, 편집, 음향까지 맡았다.

김 감독은 서울에 거주하는 아버지를 자주 볼 요량으로 영화를 기획했다. 어렸을 적 자신을 힘들게 했던 부친의 침묵이 궁금하기도 했다. “2014년 착수해 1년 정도면 완성될 줄 알았던” 다큐멘터리는 5년가량 걸렸다. 김 감독은 “한국에 올 때마다 조금씩 아버지를 촬영했다”며 “대화를 나눌수록 아이디어가 많이 생겨났고 시간이 지나며 영화가 무르익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는 정진하듯 물방울 그림에 매달렸던 김창열 화백의 삶을 시적 이미지를 통해 탐색한다. 영화사 진진 제공

다큐멘터리 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는 정진하듯 물방울 그림에 매달렸던 김창열 화백의 삶을 시적 이미지를 통해 탐색한다. 영화사 진진 제공

김 화백은 묵묵히 정진하듯 그림만 그렸던 인물이다. 김 감독에게 그런 아버지는 물음표 같은 존재였다. “산타클로스보다 스핑크스에 더 가까운 사람이었다.” 어린 시절 잠들기 전 해주는 옛날이야기도 여느 부모와 달랐다. 잠들지 않기 위해 자신의 눈꺼풀을 자르며 수년간 면벽수행했던 달마대사 이야기를 해주고는 했다.

영화는 화백의 침묵 속에 깃든 어둠을 포착한다. 김 화백은 북한에서 이데올로기의 폭력을 겪은 후 월남했고, 이후 6ㆍ25의 참상을 목도했다. 좌익으로 몰려 목숨도 잃을 뻔했다. 중학교 동창 중 절반이 숨졌을 정도로 전쟁은 참혹했다. 화백은 “전쟁이 아니었더라면 꽃 그림, 여자 나체, 풍경을 그렸던 시대였을 것”이라고 나지막이 말한다. 화백의 아내 김마르틴은 “(먼저 간 사람들의 시간을 대신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낭비할 권리가 없던 거죠”라고 짚는다. 김 화백은 마음속에 달마대사를 늘 품고 있었다.

김 감독이 태어났을 때 아버지는 이미 물방울 그림만 그리고 있었다. 김 감독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물방울이 오토바이처럼 보였다”면서 “물방울 그리는 모습이 빵 굽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여겨졌다”고 말했다.

공동 연출한 부이요 감독은 김 감독의 오랜 지인이다. 약 10년 전 전시회에서 시노그래퍼(공연ㆍ전시의 시각 콘텐츠를 디자인하는 사람)로 일하다 김 감독과 인연을 맺었다. 부이요 감독이 “도움을 주고 싶다”고 먼저 제의해 연출 작업에 합류했다. 부이요 감독은 영화 연출을 맡기 전 “한국에 대해 전혀 몰랐고 한국에 와 본 적도 없었다”고 했다. “한 달 정도 생각했던 작업”은 예상을 훌쩍 뛰어넘었다. “한국을 네 차례 방문”하였고, “김 화백이라는 아주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됐다. 그는 “처음엔 물방울 그림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김 화백의 삶을 이해하고선 선입견을 가졌던 걸 굉장히 후회하게 됐다”고 말했다. 부이요 감독은 “김 감독이 굉장히 사적이고 내밀한 주제를 다루기에 의식적으로 김 화백과 거리를 두려 했다”며 “저는 정반대로 그에게 내밀함 속으로 더 들어가라고 말하곤 했다”고 밝혔다.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속 김창열 화백이 개관 전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을 둘러보고 있다. 영화사 진진 제공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속 김창열 화백이 개관 전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을 둘러보고 있다. 영화사 진진 제공

영화는 자료화면 등을 통해 다양한 물방울 이미지를 보여준다. 하늘을 뒤덮은 낙하산 부대, 지붕 위에 떨어지는 빗방울 등이 김 화백의 그림들을 연상시킨다. 김 감독은 “자료를 찾기 위해 집 서랍을 많이 뒤졌는데 작업 중 제일 재미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이 담긴 TV 화면을 삽입하려고 했으나 북한 방송의 반대로 이뤄지진 않았다. 부이요 감독은 “미사일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습이 떨어지는 물방울과 꼭 닮아 쓰고 싶었다”며 “북한 아나운서의 과장된 몸짓과 말투, 미사일 발사라는 폭력성이 영화에 잘 어우러지리라 판단했다”고 밝혔다.

김 화백은 완성된 영화를 보지 못했다. 김 감독은 “(너무 연로해서) 오래 집중을 못하셔서 못 보여드렸다”며 “완성 전 일부를 조금씩 보셨을 때는 아무 말씀을 안 하셨다”고 말했다. 둘째 아들의 작업을 침묵으로 응원한 셈이다. 김 감독은 “아버지는 그렇게 많은 성취를 이루고도 돌아가실 때까지 자신의 그림에 자신이 없었다”며 “작품 주제 역시 덧없음, 헛됨이었다”고 생전 부친의 면모를 되새겼다.

라제기 영화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