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尹 대통령 부부, 반환 '회암사 사리' 기념 행사 참석... 진우 스님 "김건희 여사 결정적 역할"
알림

尹 대통령 부부, 반환 '회암사 사리' 기념 행사 참석... 진우 스님 "김건희 여사 결정적 역할"

입력
2024.05.19 12:30
수정
2024.05.19 19:03
4면
0 0

지난해 4월 김 여사가 보스턴미술관에 당부
김 여사, 169일 만에 1만여 명 대중 행사에 등장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경기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해 합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경기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해 합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오전 경기도 양주 회암사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했다. 가섭불과 정광불, 석가불, 고려시대 스님인 지공·나옹 선사의 사리가 약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환지본처(還至本處· 본래의 자리로 돌아감)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다. 대통령실과 불교계는 지난해 4월 미국 국빈방문 당시, 김 여사가 보스턴미술관을 찾아 사리구 및 사리 반환에 대해 요청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공식 행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김 여사는 지난 16일 한국과 캄보디아 정상 오찬을 통해 활동을 재개한 이후, 이날 169일 만에 1만여 명 참석의 대중 행사에도 참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이 귀한 유물을 다시 모셔오는 길은 길고 힘들었다"고 반환 과정을 소개했다. 2004년 보스턴미술관 소장 사실을 확인했지만 협상이 번번이 결렬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다. 윤 대통령은 "작년 4월 저의 미국 순방을 계기로 10년 만에 반환 논의 재개를 요청했다"며 "오랫동안 풀지 못한 어려운 문제였지만 한미 관계가 가까워진 것이 또 문제를 푸는 실마리가 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불교계에선 김 여사가 지난해 4월 보스턴미술관을 방문해 사리 반환에 대한 양국 간 논의 재개를 당부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은 이날 "영부인이신 김건희 여사께서 미국 국빈 방문 때 보스턴미술관에 직접 가셔서 여사님의 문화적 안목과 혜안으로 보스턴박물관 측과의 협상과 이운 승인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해주셨다"고 사의를 표했다.

대통령실도 적극적으로 김 여사를 띄우는 모습이었다. 대통령실은 참고자료를 통해 "김 여사의 보스턴미술관 방문 후 반환 협의 10년 만에 재개", "김 여사, 사리구 및 사리 반환 관련 한미 양국 간 논의 재개 당부" 등의 설명을 덧붙였다. 김수경 대변인은 "(조계종은) 사리이운 기념 행사에 대통령과 김 여사가 꼭 오셨으면 하는 바람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대통령 부부가 사전환담을 가진 자리에서 김 여사가 "사리가 환지본처돼 매우 뿌듯하며 이를 계기로 불교가 중흥하길 바란다"며 "제가 아니라 천만 불자들의 염원이 이룬 결과라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김 여사가 대중 앞에 공개 활동을 재개한 것에 대해 대통령실은 "불교계의 간곡한 요청과 감사에 화답하기 위해서"라고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다. 하지만 김 여사의 활동 폭이 더 넓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대해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민 감정은 모르쇠 하는 김 여사와 아내만 지키려는 상남자 대통령 때문에 국민들의 몸에는 고통과 분노의 사리가 생길 지경"이라며 "떳떳하다면 특검 수사에 적극 응하고 국민적 의혹을 직접 해명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김현빈 기자
박세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