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이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우리 정부는 등재 전제조건으로 조선인 강제노동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며 협의를 벌여 왔고, 한일 양국이 사도광산 전체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물 설치 등에 잠정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우리 입장을 일부 관철한 것은 평가할 부분이나, 일본은 2015년 하시마(일명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강제동원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한 후 이행하지 않아 진정성에 대한 의심은 가시지 않는다.
에도시대 금광으로 유명했던 사도광산은 태평양전쟁 시기 전쟁물자 채굴에 활용됐다. 여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이 최소 1,140여 명에 달했고, 우리 정부가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로 인정한 148명 중 73명이 진폐증 등 후유증을 앓았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는 등재 신청 당시 강제노동 논란을 피하려 에도시대(1603~1868년)로 기간을 한정하는 꼼수를 썼다. 유네스코 자문기구가 지난달 "전체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루라"며 '등재 보류'를 권고한 이유다.
과거사는 한일관계 악화의 주요인이다.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에 책임을 회피하거나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015년 하시마를 근대 산업시설로 세계유산에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알리고 희생자를 기리는 후속 조치를 하라'는 유네스코 권고를 이행하지 않은 게 대표적이다. 2020년 도쿄에 개관한 산업유산센터에는 강제동원 역사를 알리기는커녕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없었다"는 일본 측 왜곡된 주장만 가득하다.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세계유산위원회 결정과 관련한 일본의 약속을 명심할 것"이라고 했지만, '강제동원' 표현은 없었다. 반면 우리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2015년 하시마 등재 당시 강제노역을 인정하는 개념이라 과거 약속을 그대로 이어가겠다는 연결성은 확보한 것"이라고 했다. 아픈 역사가 정확하고 제대로 기록되는 게 우리 목적이다. 하시마 사례가 재현된다면 그나마 개선 기미를 보이는 한일관계가 크게 후퇴할 수밖에 없다. 우리 정부도 일본의 후속 조치 이행을 예의 주시하면서 꼼수를 용인해선 안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