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 총선 투표율 뛰었지만, 정치성향 다양해 유불리 못 따져
“40대가 되레 분노 성향 더 높아”
‘여소야대 정국의 탄생은 현실에 분노한, 야권 성향의 젊은 층이 투표장을 많이 찾았기 때문이다(?)’
20대 총선에서 드러난 2030세대 표심의 통설로 받아지던 이 같은 분석에 대해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4월 총선에서 2030의 투표율이 이전 선거보다 두드러지게 높아진 것은 분명하지만, 이들을 모두 ‘앵그리 보터’로 통칭할 수 없다는 점에서다. 2030이 반드시 야성을 드러내고 있지도 않다는 분석도 나왔다. ‘N포 세대’ 등 젊은층을 규정하는 여러 네이밍(이름 붙이기)이 범람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정치 성향과 투표 행위는 워낙 스펙트럼이 다양해, 아직은 알 수 없다는 뜻의 ‘Q세대‘로 불러야 한다는 얘기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정한울 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는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시민정치 포럼 창립 기념 토론회에서 2030세대가 총선에서 보인 투표 성향을 단순한 ‘저항투표’로만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정 교수는 “2030세대는 그 어느 세대보다 정치적 성향과 태도에서 이질적이고 극단화돼 있어, ‘헬조선’처럼 하나의 프레임에 가둬놓고 분석하면 오류를 빚을 수 있다” 고 말했다. 2030세대의 투표율 상승 요인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신 정 교수는 이번 선거에서 투표장을 찾는데 주저했던 40대를 더욱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3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한국사회로부터 느끼는 ‘위험지수’만 보더라도, 20대는 38.27%에 불과했고, 40대는 41.26%로 가장 높게 나오는 등 40대가 2030세대보다 ‘앵그리 보터’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내년 대선에선 40대의 분노 표심이 ‘캐스팅 보트’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젊은 층이 대체적으로 야권 성향일 것이라는 의견에도 정 교수는 반기를 들었다. 정 교수는 “최근 여론조사 흐름을 보면, 20대가 경제민주화 등을 지지하며 경제 이슈에선 진보적 성향을 드러내는 게 뚜렷하지만, 강경한 대북정책과 한미동맹을 지지하는 비율은 30대 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안보 분야에선 매우 보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야권이 무조건 20대를 자기 편이라고 보는 것은 큰 오산이란 지적이다.
강윤주 기자 kka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