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 가능성에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을 준비 중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미국 정부가 북한의 급변사태를 대비한 비상계획을 상황에 따라 수정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그 진위와는 별개로 건강이상설 등 각종 추측이 쏟아지면서 유사시 대비 필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마크 피츠패트릭 전 미국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 정부가 김 위원장 건강이상설과 관련, 북한에 대한 비상계획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접촉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앞서 미 CNN 방송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 당국이 김 위원장의 건강 관련 보도를 심각하게 보고 비상계획을 의논하기 위해 미국 내 북한 전문가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는 “북한에 대한 비상계획은 북한 내부에서 쿠데타 즉, 군인반란, 대량 탈북, 대규모 시위, 자연재해 등과 같은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고, 이것이 지역 불안정 등의 위협을 초래할 때 미국과 한국이 이 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주로 군사적으로 어떻게 개입할 건지 계획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이런 비상계획은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것이고, 현재 김정은 상황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능성을 두고 수정작업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미국 국방장관실 선임보좌관을 지낸 프랭크 엄 미국 평화연구소(USIP) 선임연구원 역시 RFA에 자신이 국방부에서 일할 때도 항상 광범위한 비상계획을 준비했었다면서, 김 위원장 건강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쏟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 정부가 북한에 대한 비상계획을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있다면 ‘그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허드슨연구소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 안보석좌도 “김 위원장 건강이상설이 미 정부로 하여금 유사시를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NN 보도에 앞서, 지난 21일에는 미 폭스뉴스가 미국 정부가 김정은 사망 시를 대비해 ‘광범위한 비상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이를 공식 확인한 바는 없다. 미 국방부는 김정은 유고시를 대비해 북한에 대한 비상계획을 수정하고 있냐는 질의에 이날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다고 RFA는 전했다.
최나실 기자 verit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