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가 신창호 교수
무용수 움직임을 찍어 입력
AI 스스로 학습, 동작 만들어
인공지능(AI)시대에 예술은, 그리고 창작은 여전히 인간 고유의 영역일까. 바흐 곡을, 렘브란트 그림을 AI에다 입력시켰더니 더 바흐 같은 곡을, 더 렘브란트 같은 그림을 만들어 내는 시대다. 그렇다면 춤은 어떨까. 아직은 AI가 아직 갖지 못한, ‘몸’으로 표현하는 예술 말이다.
결론적으로, 가능하다. 이번 달 26, 27일 이틀간 온라인에 공개될 국립현대무용단 10주년 신작 ‘비욘드 블랙’이 그런 작품이다. AI를 무대로 끌어들인 이는 신창호(43ㆍ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안무가. ‘그래잉’ ‘맨 메이드’ ‘IT’ 등 여러 작품을 통해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꾸준히 탐구해 왔다. ‘비욘드 블랙’ 제목 자체가 ‘미지의 영역을 넘어선다’는 뜻이다.
최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연습실에서 만난 신 안무가는 “AI 안무는 국내에서 첫 시도일 것”이라며 웃었다. 그래서일까. 그의 입에서 나온 말들은 안무가보다는 공학자 같았다.
AI로 안무를 하기 위해선 먼저 크로마키를 배경으로 무용수 8명의 움직임을 촬영, 그 데이터를 입력해야 한다. AI는 그 동작들을 스스로 학습해 응용 동작들을 만들어 낸다. 256분 분량을 집어넣었더니 일주일 만에 3배가량인 1,000분 분량이 나왔다.
만화 캐릭터 ‘졸라맨’처럼 점과 선으로 단순화한 AI가 만들어 낸 춤은 인간보다 훨씬 더 유연했다. 결과물을 보고 신 안무가도 놀랐다. “아무리 그래도 AI는 기계니까 딱딱한 느낌의 무용수들을 섭외했거든요. 그게 기계적인 게 아닌가라고 생각한 제 선입관 자체가 틀린 거죠(웃음).”
신 안무가는 AI 동작을 토대로 다시 안무를 구성했다. 팔을 뻗고 다시 접는 식으로 인간의 움직임은 일정한 패턴이 있는 반면, AI의 안무는 불규칙적이어서다. 신 안무가는 “처음부터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 때보다 인간의 창의력이 훨씬 더 많이 쓰인다”고 했다.
무대에선 LED 패널, 프로젝션 맵핑까지 활용한다. 스크린 속에선 인간의 이미지를 입힌 AI가 춤을 추고, 그 앞에선 무용수들이 군무를 펼친다. 기술과 인간은 그렇게 하나가 된다. 신 안무가와 창작진은 AI 캐릭터에 ‘마디’라는 이름이 붙여줬다. 뼈와 뼈가 맞닿는 게 마디이듯, 인간과 AI가 맞닿는다는 의미다. “이번 무대가 예술적 감각을 통해 기술의 진보를 체험해 보고, 그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합니다.”
‘비욘드 블랙’은 원래 4월 정식 무대에 오를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공연으로 변경됐다. 그래서 준비는 더 복잡해졌다. 온라인 상으론 입체감이 살지 않아서 무용수를 여러 시점에서 촬영한 뒤 이를 영화처럼 편집해 보여준다. 그는 “스트리밍으로 훨씬 더 많은 관객들을 만나게 돼 기쁘기도 하지만, 영상 문법을 통해 재구성한 안무라 온전한 무대 공연은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아이러니하다.
신 안무가는 한국 대표 안무가 중 1인으로 꼽힌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으로 ‘무용계 아이돌’이라 불리는 LDP무용단 대표를 지냈다. 무용수로 영국, 스위스에서도 활동했다. 안무작 ‘노 코멘트’는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발레단의 고정 레퍼토리로 수출됐다. 한국 현대무용 작품으로는 최초다.
신 안무가는 당분간 첨단기술을 접목한 안무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아직 알고 싶은 것이 너무 많다. “2년 전 ‘맨 메이드’ 만들 때는 가상현실(VR)을 이용했어요. 헤드기어의 전선이 동선을 제약하는 게 참 거슬렸는데, 개막 이틀 전에 무선 헤드기어가 출시되더군요.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어요. AI 안무 또한 AI 로봇이 하는 시대가 올지 모르죠. 기술이 예술의 어디까지 파고들 수 있을까, 그 답을 찾을 때까지 이 작업을 그만둘 수 없을 것 같아요.”
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