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中 기업들, 당국 지원 등에 업고 공세… 삼성전자마저 고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中 기업들, 당국 지원 등에 업고 공세… 삼성전자마저 고전

입력
2014.08.05 19:30
0 0

가격 경쟁력·세제 혜택 차별에 국산 에어컨·TV 등 이미 철수

냉연강판 등 일부 고급제품만 선전, 틈새시장서 출구전략 찾기 잰걸음

올해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4’ 전시회의 중심인 3번홀에 위치한 중국 정보기술(IT) 부스에 유독 많은 사람들이 몰렸다. 중국 참여업체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물론이고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까지 최신 제품을 쏟아냈기 때문이다. 중국 부스를 둘러본 신종균 삼성전자 IM(정보통신ㆍ모바일) 사업부장(사장)은 “중국을 아직도 저 아래로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천만에 말씀이다”며 “성장속도가 우리보다 더 빠르다”며 경계했다.

수 년 전만 해도 한국에게 중국 시장은 ‘기회의 땅’이었다. 현지업체에 비해 월등한 제품 경쟁력과 철저한 현지 마케팅 전략이 주효하면서 한국산 제품은 승승장구했다. ‘한국 제품은 만들기만 하면 팔린다’는 소리가 공공연히 떠돌았을 정도였다. 그랬던 한국 기업들이 최근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자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 토종 기업들의 성장세가 가파른 데다, 세계 각국 업체들까지 앞다퉈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다. 새로운 출구 전략을 찾지 않고선 현지에서 더 이상 살아남기 힘든 지경으로 내몰리고 있다.

적신호가 가장 믿었던 품목인 스마트폰부터 켜졌다. 2012년1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18.8%의 점유율로 애플을 제치고 ‘넘버 1’ 자리에 올랐던 삼성전자가 2년 만인 올해 2분기 현지 업체인 샤오미(小米)에게 1위를 내줬다. 더욱이 3,4,5위도 모두 중국 업체가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여기에 중국 당국은 향후 3년내 보조금을 포함한 마케팅 비용의 20% 축소 방침까지 내놓아, 고가인 삼성 휴대폰의 고전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TV나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 생활가전은 이미 현지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특히 에어컨은 시장에서 거의 철수한 상태다. 전자업체 관계자는 “기본적인 가격 경쟁력에서 워낙 차이가 나고, 현지 업체에 우선 지원하는 정부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 등으로 한국 제품이 전시대에서 사라진 지 오래됐다”고 전했다.

유통 업계도 심각하다. 중국을 포함해 러시아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공격적인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롯데마트의 경우, 올해 1분기 해외 영업손실이 전년동기대비 2배 늘어난 528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점포 수가 102개로 가장 많은 중국 시장에서의 1분기 당기손실은 전년동기대비 무려 7배나 늘어난 316억원이다. 롯데마트 측은 이에 대해 사업 확장 초기에 나타나는 일시적 적자라고 보고 있지만 상황이 녹록치 않다. 이마트는 중국 사업을 축소하고 있다. 1997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2010년 말 매장 수를 27개까지 확대했지만 현재는 15개만 운영 중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건물 임차료나 인건비 등 관리비 상승과 더불어 외국기업에 대한 보이지 않는 차별이 경영 악화의 주된 원인이다”고 설명했다.

철강업계도 고전 중이다. 냉연강판 등 고급제품은 여전히 경쟁력이 있지만, 일반강 제품은 중국업체의 난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히려 중국업체들의 저가 제품들이 국내로 밀려들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정유업계 역시 상황이 비슷하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중국으로의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2011년보다 16.8% 감소한 7,641만배럴을 기록했다. 중국의 정제시설이 늘어나면서 석유제품 자급률이 크게 높아진 탓이다. 중국의 원유정제 설비는 2008년 하루 872만 배럴 수준에서 지난해에 1,259만 배럴까지 늘었다. 일부 제품은 수출까지 하게 되면서 국내 기업의 경쟁자로 부상했다.

배은준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은 “한국기업이 중국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애플이 태블릿 PC로 새로운 시장을 열었던 것처럼 파격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며 “웨어러블에 스마트 기기 등과의 연동 기술을 통한 새로운 틈새시장 개척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허재경기자 ricky@hk.co.kr 강철원기자 strong@hk.co.kr 이서희기자 sh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