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10일 지금의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현재 영어 한국사 두 과목인 절대평가 과목을 확대하겠다는 게 요지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절대평가 확대 과목의 범위를 놓고 통합사회ㆍ통합과학과 제2외국어ㆍ한문을 추가, 기존의 영어와 한국사를 포함해 4개 과목으로 늘리는 방안과 아예 국어, 수학까지 포함한 7개 과목을 모두 절대평가 하는 두 안을 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한 수능 절대평가는 일정 점수만 받으면 그 점수대 수험생 규모에 상관없이 같은 등급을 받는 제도다. 따라서 충분히 좋은 점수를 받고도 해당 점수대 수험생 수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는 상대평가처럼 극단적 경쟁에 내몰릴 가능성은 줄어든다. 다른 수험생과의 비교 대신 스스로의 성취 정도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기 때문에 무한 경쟁이 완화되고 사교육비 절감도 기대해볼 만하다. 무엇보다 학교나 학생들이 수능 압박에서 조금은 벗어나 창의력과 인성 함양을 꾀하고 고교학점제 등 다양한 시도를 해볼 여지가 생긴다. 그런 점을 기대한다면 전 과목 절대평가가 최선이다. 그러나 당장 변별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만만찮다. 절대평가로 등급이 같은 학생이 많아지면 대학이 수능 위주의 정시 수험생 선발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대학이 수능의 변별력 약화를 보완하겠다며 면접 또는 대학별 시험을 강화하면 사교육 성행 등 다른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
교육부는 추후 권역별 공청회 등을 거쳐 31일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지만 두 안 중 제 1안, 즉 부분확대 방안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많다. 이낙연 국무총리 등이 최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교육 정책은 학생과 대학이 수용할 수 있도록 신중하고 때로는 천천히 가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설령 절대평가의 당위성과 변별력 약화 가능성이라는 현실적 문제의 절충으로 제 1안이 채택되더라도 교육당국이 거기서 멈춰서는 안 된다. 이미 대학 신입생 4명 중 3명이 수시로 선발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학생부에 대한 불신을 줄이는 등 수능 이외 전형의 신뢰 확대와 객관성 확보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 대입 제도를 넘어 21세기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체계를 갖추려는 노력 또한 중요하다. 대통령이 의장을 맡는 국가교육회의가 곧 출범할 것이라니 더욱 다양한 교육 개혁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