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ㆍ기회형 창업 늘었지만
탄핵정국 속 부정적 여론 높아져
“2015년에 비해 창업 지원과 투자 유치가 3배로 늘었고, 신규 고용도 7배나 증가했다.”
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은 29일 정부과천청사에서 ‘2016년 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과 설명회’를 갖고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보육 중인 신생 혁신 기업(스타트업)의 수와 투자유치 규모 등이 크게 늘었다고 강조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ㆍ도에 구축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올해 지원한 스타트업은 1,635개로, 지난해(578개)에 비해 급증했다. 투자 유치도 같은 기간 1,267억원에서 4,271억원으로 뛰었다. 센터 입주 스타트업을 통한 신규 고용은 2,267명으로, 2015년 말 283명 대비 7배나 증가했다. 홍 차관은 또 “2012년 46%였던 ‘기회형 창업’이 65%로 늘어난 반면 ‘생계형 창업’은 35%에서 24%로 줄었다”고 밝혔다. 통닭집처럼 시장 진입이 쉬어 경쟁이 심하고 부가가치가 낮은 생계형 창업보다 시장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기회형 창업이 증가하면서 질 높은 창업이 확대됐다는 게 미래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로 지목된 이들이 창조경제 핵심 정책까지 손을 뻗친 정황들이 포착되고 있고 탄핵정국으로 들어서며 박 대통령이 주창해온 창조경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혁신센터 운영 예산도 ‘최순실 예산’이란 비판에 진통을 겪다 당초 미래부가 올린 안에서 36억원 깎인 436억5,000만원으로 통과됐다. 창조경제 연간 행사 중 가장 큰 규모인 창조경제박람회 관람객은 지난해 10만3,000여명에서 올해 9만6,000여명으로, 2013년 첫 개최 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센터를 지원하고 상생 협력을 추구한다는 순수한 의도도 의심받고 있어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가 전 세계적인 흐름이란 점을 감안하면 기본 운영 취지는 지켜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투자유치, 판로개척 등 스타트업들이 겪는 가장 큰 고민거리를 해소해 줄 통로는 필요하기 때문이다. 혁신센터로부터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한 스타트업 대표는 “센터 통합 등 구조조정을 거치더라도 벤처 생태계의 내실을 키워주는 지원은 정치적 문제에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창조경제 간판을 바꿔 다는 건 몇 달 안에도 할 수 있지만 의미가 없는 일”이라며 “그보다는 실제 창업 생태계가 더 튼튼해지도록 지속적 개선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