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지평선] '길동무'된 대통령과 위원장

입력
2018.04.29 17:17
30면
0 0

‘···이렇게 만났으니 다시는 헤어지지 맙시다/···다시는 수난의 역사, 고통의 역사, 피눈물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맙시다/ 또다시 되풀이 된다면 가슴이 터져 죽습니다. 민족이 죽습니다/반세기 맺혔던 마음의 응어리도/ 한 순간의 만남으로 다 풀리는 그것이 혈육입니다/ 그것이 민족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7일 판문점 회담 만찬에서 인용한 이 구절은 북한의 계관시인 오영재가 2000년 6ㆍ15 공동선언 두달 뒤 서울에서 열린 1차 이산가족상봉 때 남한의 동생 등 가족을 만난 뒤 쓴 '다시는 헤어지지 맙시다'에서 인용한 것이다.

▦ 1935년 전남 장성에서 태어난 오씨는 한국전쟁 때 16세 인민의용군에 입대했다가 휴전 후 북한에 남아 천리마운동이 한창이던 60년대 천리마 기수의 생활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문단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1990년 남녘에 사는 어머니 소식을 듣고 쓴 연작시 '아 나의 어머니'에서 '늙지 마시라'를 열창했고, 1995년 어머니의 작고 소식을 접하자 통한의 사모곡을 읊었다고 한다. 가족상봉 때 눈물을 쏟으며 통곡하던 그의 모습을 기억하는 사람은 판문점 만찬사에 등장한 그의 시를 듣고 감회가 남달랐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신장식 작가의 그림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을 배경으로 기념촬영하고 있다. / 고영권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신장식 작가의 그림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을 배경으로 기념촬영하고 있다. / 고영권기자

▦ 짧지만 굵은 만남이었다. 한 장면 한 장면이 드라마였고 놀람과 감동의 여운은 크고 넓었다. 남북 정상이 군사분계선을 손잡고 넘나들고, 나란히 의장대를 사열했으며, 오랜 친구처럼 도보다리를 함께 걷고, 전 세계 언론이 생방송하는 가운데 둘만의 '벤치회담'을 가졌다. 오전 9시29분 맞잡은 두 정상의 손은 만찬에 이은 환송행사가 끝난 밤 9시26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떠날 때까지 거의 떨어질 줄 몰랐다. 통역이 필요 없었으니 내밀한 얘기도 많이 오갔을 것이다. 판문점 선언이 더 무겁게 다가오는 이유다.

▦ 문 대통령은 건배사에서 '한 가마 먹은 사람이 한 울음 운다'와 '길 동무가 좋으면 먼 길도 가깝다' 는 2개의 북측 속담을 인용하며 민족 동질성과 공동번영을 강조한 뒤 "김 위원장과 나는 이제 세상에서 둘도 없는 좋은 길동무가 되었다"고 선언했다. 53년생 대통령과 84년생 위원장이 한 세대를 뛰어넘어 '길동무'가 된 것은 분단의 세월이 길었던 만큼 통합의 역사를 만드는 작업이 선언 하나로 불쑥 다가오지 않음을 뜻한다.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고 하지 않는가.

이유식 논설고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