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팀 절반인 11개팀 운영
예산 대부분 지자체 지원금 충당
지자체장들이 구단주도 겸해
선거 후엔 구단 대표, 단장 물갈이
전문성 없는 낙하산 인사 수두룩
구단 수뇌부가 선거 캠프 뛰기도
“시장이 바뀌면 우리 구단은 어찌 되는 걸까?” “저 후보가 당선되면 구단 예산이 확 깎이진 않을까?”
6월 13일 열릴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프로축구 K리그에 속한 시민구단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남FC, 인천유나이티드, 부천FC 등 지역 시민구단은 K리그1(1부) 12팀, K리그2(2부) 10팀 등 22팀 중 절반인 11팀(군 축구단인 상주상무와 경찰 축구단인 아산무궁화 제외)이나 된다. 2002년 한일월드컵 전후로 시민구단이 대거 창단하며 프로축구의 양적 팽창에 기여한 측면은 있지만 선거철만 되면 그 결과에 따라 구단 대표이사나 단장이 물갈이되는 폐단이 여전하다.
시민구단이 지역 정치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취약한 재정 구조다. 프로 축구단을 운영하려면 1부의 경우 한 해 예산이 최소 100억원, 2부는 60억원 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구단 자체적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입장, 후원 수익은 미미한 수준이다. 지역 후원 유치도 지차제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그나마 가능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지자체 지원금으로 충당하는 구조다.
이러다 보니 지역 정치가 구단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최근 성남시가 제출한 축구단 운영 예산 70억원 중 성남시의회가 15억원만 가결해 K리그2 성남FC는 인건비도 지급하지 못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지난 16일에 삭감된 예산을 추가로 받는 안건이 통과돼 구단은 한숨 돌렸지만, 시민구단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해프닝이었다.
선거에 당선된 지자체장들은 시민구단의 구단주를 맡게 돼 그 영향력이 상당하다. 문제는 상당수 지차제장들이 자신이 임명하는 구단 대표나 단장직을 선거 후 논공행상을 위한 전리품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성 없는 낙하산 인사가 구단 경영이나 살림을 맡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난 2월 이의택 전 수원시 군공항이전추진단장이 K리그2 수원FC 단장으로 취임하자 축구와 관련 없는 인사를 단장에 앉혔다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불거져 나왔다. 이에 대해 이 단장은 “꼭 스포츠 전문가가 축구단 단장을 맡으란 법은 없다. 단장은 구단 운영이 잘 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할 뿐”이라며 “지금도 난 단장으로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프로축구 관계자는 “선거철만 끝나면 경영진이 물갈이 되니 장기적 안목의 구단 운영이 제대로 되겠느냐”며 “시민구단이 지역민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경기가 열리는 날이 지역의 장터가 되는 그런 선순환 구조를 기대하지만 우리 현실은 아직 요원할 뿐”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윤태석 기자 sportic@hankookilbo.com 박순엽 인턴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