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국인 한국과 2020년 하계올림픽 개최국 일본이 경기 장소를 서로 바꿔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이후 분산 개최 가능성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바흐 위원장의 언급은 그가 추진하는 ‘어젠다 2020’에 기반한 것으로 분산 개최 등을 통해 환경파괴를 줄이면서 적은 비용으로 올림픽을 치르자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갈등으로 준비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는 상황이다.
바흐 위원장이 ‘어젠다 2020’을 들고 나온 것은 올림픽 개최 희망 도시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와는 달리 올림픽이 투자대비 효율이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각국의 도시들이 유치를 꺼리거나 포기하는 경우까지 나왔다.
2022년 동계올림픽도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중국 베이징만 후보 도시로 남아있다. 노르웨이 오슬로도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정부가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54억달러의 예산을 지원할 여력이 없다면서 오슬로가 요청한 재정지원안을 거부한 것이다.
올 2월 열렸던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도 54조원이 투입됐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완전히 실패작으로 기록됐다. 2006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했던 이탈리아 토리노는 썰매 경기장을 폐쇄했고, 199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했던 일본 나가노는 100억달러가 넘는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치른 그리스는 심각한 재정 압박으로 유럽의 금융위기를 촉발했다. 멀리 볼 것도 없다. 인천 아시안게임에 2조원이 넘는 돈이 투입됐고 인천시가 부담한 1조2,500억원은 부채로 고스란히 남았다. 여기에 도시철도 건설비 등을 따지면 내년부터 한 해에 5,000억원이 넘는 원리금을 갚아야 한다. 결국 복지비용 등에 투입될 돈으로 빚을 막는데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리게 됐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 경기장 건설비용 등으로 12조원에 가까운 사업비가 투입된다. 국고의 지원을 받더라도 부담이 적지 않다. 대회가 끝나도 경기장 운영 등을 위한 유지비만 매년 100억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강원도는 현재 동계올림픽 관련 수지타산과 무관하게 6,000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강원도와 평창지역은 분리개최에 대해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자존심 문제이기도 하거니와 경기장 공사가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에 분산 개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장 건설에 대한 매몰비용 등을 감안하더라도 대회 이후의 후유증을 고려하면 IOC의 권고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올림픽 한번 치르고 재정이 거덜나면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갔던 사례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