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임금 없는 성장’이 국제적으로 가장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없는 성장은 임금은 줄어드는 반면 노동생산성은 늘어나는 것으로 노동력에 대한 보상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27일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의 ‘임금 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실질임금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2007~2012년 2.3% 하락했다. 이에 비해 1997~2002년과 2002~2007년 동안 실질임금은 각각 19.4%, 17.6% 증가했다.
금융위기 이후 실질임금이 하락한 이유는 1997년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은 큰 차이가 없던 반면 명목 임금상승률이 금융위기를 계기로 급락했기 때문. 물론 실질노동생산성도 연 3%를 웃돌다가 2007년 이후 1.9%대(5년간 9.8% 상승)로 하락하긴 했지만, 마이너스까지 떨어진 실질임금 상승률과의 격차가 커 임금 없는 상승이 이뤄진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를 보면 2012년(또는 2011년) 실질 임금이 2007년과 비교해 한국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이 가운데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빼고 비교하면 실질 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다. 이 기간 우리나라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비교 대상 18개국 중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박 연구위원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한국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하다”며 “실질 임금이 노동생산성에 맞춰 늘어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