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찰칵! 아날로그] 구닥다리라서 더 좋다… 간직하고픈 한 컷을 찍다
알림

[찰칵! 아날로그] 구닥다리라서 더 좋다… 간직하고픈 한 컷을 찍다

입력
2017.12.26 17:00
14면
0 0
23일 서울 용산구 등대사진관에서 서원희(남)씨 가족이 19세기 유행했던 습판사진술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23일 서울 용산구 등대사진관에서 서원희(남)씨 가족이 19세기 유행했던 습판사진술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19세기 습판식·흑백 폴라로이드

“100년 전 사진 같은 옛스러움”

디지털세대에서 오히려 인기

“살짝 찡그렸지만 자연스러워”

수정 못하는 순간 포착이 매력

찍는 과정 긴장감도 추억으로

“30초 뒤 필름 나옵니다! 준비해주세요.”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등대사진관. 감광유제(빛에 반응하는 물질)를 철판에 바른 이규열 공동대표가 소리쳤다. 그 말에 작은 스튜디오 안이 분주해졌다. 감광유제가 마르기 전까지 사진을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흰색 티셔츠에 청바지로 옷을 맞춰 입은 서원희(36) 이현종(34) 서주혁(1) 가족이 자세를 다잡았다. 이들은 사진 촬영을 위해 인천에서 이곳까지 왔다. 아이가 태어난 올해를 잘 마무리 하고 싶어 지난 여름 촬영을 예약했다.

이창주 공동대표가 건네받은 필름을 나무판에 끼워 카메라에 넣었다. 1900년대 초반 미국 뉴욕에 있었던 ‘코로나 뷰’라는 회사가 만든 카메라다. 감광유제가 젖어있는 상태에서 촬영ㆍ현상하는 습판사진술(1800년대 중후반 크게 유행)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미국에서 들여왔다. 감도(ISO)가 1밖에 안 돼 사진이 흔들리기 쉽다. 그래서 순간적으로 강렬한 빛이 필요하다.

익숙하지 않은 환경 탓인지 주혁이가 울먹거리기 시작했다. 동영상을 틀어놓은 휴대폰을 카메라 렌즈 앞에 두고 시선을 뺏어보려 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이창주 대표가 말했다. “감광유제가 마르면 어차피 사진 못 찍으니까 우선 찍을게요.” 번쩍. 조명에서 나온 강렬한 빛이 스튜디오를 가득 메웠다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23일 서울 용산구 등대사진관에서 이현종(맨 오른쪽)씨가 19세기 사진기술인 습판사진술로 촬영한 사진을 보고 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23일 서울 용산구 등대사진관에서 이현종(맨 오른쪽)씨가 19세기 사진기술인 습판사진술로 촬영한 사진을 보고 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철판을 정착액에 넣고 앞뒤로 흔들자 희미한 상이 맺히기 시작했다. 그렇게 19세기 사진기술로 촬영한 흑백사진 한 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 자세를 잡는 것부터 현상까지 총 30분이 걸렸다. 서씨 가족은 총 두 번의 사진을 찍었다. 서씨는 “아들이 표정을 살짝 찡그렸지만 오히려 자연스러워 좋다”고 말했다. 이씨도 “사진촬영에 대한 기대감, 남편과 함께 이번 촬영에 부여했던 의미 등이 현상된 사진 한 컷에 오롯이 담겨 있는 것 같다”며 “매년 연말마다 변해가는 가족 모습을 남겨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5년 문을 연 이곳엔 주말마다 가족ㆍ연인 단위로 4,5팀이 방문해 사진을 찍는다. 이규열 공동대표는 “스마트폰으로 금방 찍고 확인하는 일회성 사진이 아니라 찍는 과정부터 촬영 이후에도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사진을 찾아서 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철판에 찍기 때문에 종이 사진보다 변색이 덜 되고, 습기에도 강하다. 현재 국내에서 습판사진을 찍는 곳은 3곳 밖에 없다.

지난 21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사진관도 ‘간직할 수 있는 사진 한 컷’을 위해 방문한 이들로 북적였다. 오후 1시 개점하자마자 결혼 7년차인 김신권(37) 김희경(35) 부부가 사진관에 들어섰다. 나흘 앞으로 다가온 결혼기념일(12월25일)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김신권씨는 “입사 10주년을 맞아 3일 휴가를 받았는데 해외여행을 가기 보다 오랫동안 간직하면서 가끔 꺼내볼 수 있는 흑백 폴라로이드 사진을 찍고 싶어 대구에서 올라왔다”고 말했다.

뒤이어 권용석(27)ㆍ김경진(26) 커플이 사진관 문을 두드렸다. 사진 찍기 전 전신거울 앞에서 서로의 매무새를 만져준 뒤 나란히 카메라 앞에 섰다. 이날은 두 사람이 사귄 지 1년째 되는 날이다. “흑백사진은 웃는 게 잘 나와요”라는 김규현 대표의 말과 함께 플래시가 번쩍였다. 권씨는 “사진뿐 아니라, 사진 찍기 전에 느꼈던 긴장감과 옷차림을 서로 살펴주는 모습 등 사진 찍는 과정도 좋은 기억으로 남아 맘에 든다”고 말했다. 김씨는 “인화된 사진을 직접 받아보니 매우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덧붙였다.

평일에는 80~100팀, 주말에는 120~140팀이 흑백 폴라로이드 사진을 찍으러 연희동사진관을 찾는다. 김 대표는 “사진이 어떻게 나올지 예측할 수 없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사람들이 신선함을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디지털 사진이 보편화하면서 각종 보정작업으로 얼룩진 사진을 본 모습으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심해지고 있는데, 오히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최근 아날로그 사진이 주목 받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국내에 출간된 ‘아날로그의 반격’ 저자인 데이비드 색스는 이렇게 분석했다. “디지털 사진의 가장 큰 문제는 실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좀 더 촉각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경험을 갈망한다.”

특히 최근 아날로그 사진의 인기는 ‘복고’ ‘추억’ 등과 같은 단어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아날로그 사진의 소비 주체 상당수가 젊은 세대이기 때문이다. 길거리에서 즉석 사진을 찍는가 하면, 구닥다리 유물로 치부되던 필름 카메라도 이들 세대에게 인기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디지털이 일상화한 젊은 세대에겐 아날로그가 오히려 새로운 자극”이라며 “젊은 세대 안에서 보편화하지 않은 아날로그 문화를 즐긴다는 걸 보여줌으로써 자신을 좀 더 돋보이게 하려는 소비형태”라고 분석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