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우리나라 기상청의 강수 예보 적중률이 46%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기상청이 비가 올 것으로 예보한 5,193회 중 실제 비가 온 경우는 3,228회(62%)에 그쳤고, 비 예보를 하지 않았는데 비가 온 경우도 1,808회나 됐다. 더 큰 문제는 2012년 47.7%에서 지난해 45.2%로 하락하는 등 예보 적중률이 갈수록 떨어진다는 점이다. 오보청’ ‘구라청’이라는 비아냥이 나올 만하다. 지진 대응도 엉망이긴 마찬가지다. 지난해 발령한 세 차례 지진 조기경보에 평균 26.7초가 걸린 반면, 일본은 7회 지진 경보 평균 소요시간이 7.2초에 불과했다.
이런 엉터리 기상 행정은 감사원이 기상청 기상산업진흥원 등 8개 기관을 감사해 22일 공개한 ‘기상 예보 및 지진통보 시스템 운영 실태’ 감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감사원은 기상청이 지난해 8월 폭염이 꺾이는 시점을 네 차례나 잘못 예측하고 9월 경주 지진 발생 당시 조기 경보가 10분이나 걸리는 등 문제가 발생하자 감사에 나섰다.
기상청은 지난해 여름 잦은 폭염 오보로 비난 여론이 빗발치자, 사상 유례 없는 기상이변과 수치모델의 예측성 저하를 주원인으로 꼽았다. 계속되는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이 빈발해 정확한 날씨 예측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우리 기상청의 예보를 믿지 못해 시민들이 해외 기상 사이트를 찾는 현실을 설명하지 못한다. 실제 우리 강수 예보 적중률은 영국보다 7%포인트나 낮다.
감사원도 기상청이 2010년 6월 천리안위성 1호를 띄워 놓고도 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을 소홀히 해 7년간 한 번도 써먹지 못한 점을 수치예보 정확도 하락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영국 등이 제공하는 20개 해외 위성 관측자료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고 한다. 기상청은 최근 5년간 슈퍼컴퓨터 도입(569억원)과 수치예보모델 개선에 1,192억원을 투입했다. 결국 엄청난 예산을 쓰고도 예보관의 전문성과 기술력 부족 탓에 오보를 거듭한 셈이다.
예보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국민 삶의 질 개선은 물론 산업 보호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학계에선 예보관의 경험과 노하우가 예보 정확도의 30%를 좌우한다고 본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탓만 할 게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숙련된 예보관 인력과 관측 기술 확보에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계의 기상 전문가를 영입하거나 민간 예보업체와 협력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이번 감사원 감사 결과가 예보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