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점점 멀어지는 ‘동북아 금융허브’ 꿈

알림

점점 멀어지는 ‘동북아 금융허브’ 꿈

입력
2017.07.12 04:40
0 0

금융중심지 경쟁력 GFCI 순위 서울 6개월새 10계단 추락 24위

中 상하이ㆍ베이징ㆍ선전에도 밀려

노무현 정부 이후 공들여왔지만 여의도 IFC 해외금융 절반 불과

금융산업 세계화 전략 수정해야

정부 “내달 새 3개년 계획 발표”

“서울을 홍콩, 싱가포르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아시아 3대 금융허브로 키우겠다.”

노무현 정부는 지난 2003년 ‘동북아 금융허브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글로벌 금융회사들을 국내로 끌어들여 금융산업을 육성시키겠다는 비전이었다. 2015년까지 아시아 3대 금융허브가 되겠다는 목표도 제시됐다. 올해로 추진 14년째를 맞는 이 사업의 성과는 그러나 초라하기 짝이 없다. 서울의 금융중심지 경쟁력은 싱가포르, 홍콩과 오히려 격차를 벌리고 있다. 지금은 금융 후진국으로 여겼던 중국을 따라잡기도 벅찬 상황이다.

11일 영국계 리서치 기관인 지옌(Z/Yen)그룹이 발표한 세계 주요 도시의 금융중심지 경쟁력 순위(GFCIㆍGlobal Financial Centers Index)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 3월말 기준 평가 대상 88개 도시 중 24위를 기록했다. 해당 국가의 사업환경, 금융인프라, 인적자원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한 뒤 전문가 설문을 거쳐 6개월마다 순위를 매기는 GFCI는 주요 국가의 금융중심지 경쟁력을 따질 때 참조되는 지표다.

실제 우리나라의 금융시장 매력도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의 순위는 지난해 9월(14위)보다 무려 10계단이나 하락했다. 정부가 서울과 함께 금융중심지 후보로 지정해 놓은 부산(50위)도 9계단이나 떨어졌다. 반면, 중국은 상하이(13위) 베이징(16위) 선전(22위) 등 평가대상 3곳이 모두 서울을 앞질렀다. 미래에 금융중심지가 될 후보 도시 15곳도 상하이, 싱가포르, 두바이의 순이었다. 부산은 겨우 13번째로 이름을 올렸고 서울은 아예 후보군에서도 빠졌다.

동북아 금융허브는 매 정부마다 공을 들인 정책이다. 정부는 실효성을 높인다며 2008년 관련법을 만든 후 3년마다 기본계획도 발표하고 있다. 올해도 다음달 3개년 계획을 내놓는다. 이 계획에 따라 지난 2012년엔 서울 여의도에 국제금융센터가 문을 열었다. 부산 문현동에도 국제금융센터를 세웠다. 그러나 여의도 국제금융센터는 현재 외국 금융사 비중이 절반 정도에 불과할 만큼, ‘국제’라는 명칭이 무색하다. 규모가 가장 큰 3동은 입주율이 30%도 안 된다.

당초엔 2012년까지 세계 50대 자산운용사 지역본부를 유치하려는 계획이었지만 실제 국내에 들어온 자산운용사는 손에 꼽을 정도다. 오히려 일부 유럽계 금융사는 한국에서 짐을 빼고 있다. 최근 비대면 거래 증가로 전 세계 금융사들이 점포를 줄이는 추세라는 점도 악재다. 김한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금융산업을 세계화하는 방향은 맞지만 최근 금융 환경 자체가 많이 변한 만큼 기존 전략을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국가적 지원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중국 도시들과 비교하면 서울과 부산을 동북아 금융허브로 키운다는 전략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고도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 관계자는 “다음달엔 그간 달라진 금융환경을 반영한 3개년 계획을 내놓을 것”이라며 “금융허브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