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글로벌 머니 무브 방아쇠 당겨졌다... 신흥국 경제 ‘유탄 경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글로벌 머니 무브 방아쇠 당겨졌다... 신흥국 경제 ‘유탄 경보’

입력
2015.12.17 09:59
0 0

“미국 ‘점진적 금리 인상’ 다짐 불구,

상황변화 예측 못해 불확실성 여전”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중 참석 기자들이 질문을 하기 위해 다투어 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중 참석 기자들이 질문을 하기 위해 다투어 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점진적 인상”이란 거듭 다짐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금리인상은 전세계 투자자산의 대이동(머니 무브)을 불러 일으킬 방아쇠나 마찬가지다. 연방준비제도(Fed)에서 시작된 오랜 저금리 시대 종료의 날갯짓은 선진국, 원자재 시장, 신흥국 등을 차례로 휩쓸며 연쇄적인 ‘나비효과’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① 신흥국 연쇄 도미노 오나

전세계가 가장 먼저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신흥국에서의 연쇄 자본이탈이다. 그간 신흥시장에 뿌려져 있던 투자금들이 일제히 주인(선진국)을 찾아 돌아설 경우, 가뜩이나 취약해진 신흥국 금융시장은 도미노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이미 ‘글로벌 투자금 엑소더스’는 진행형이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신흥국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은 338억달러(약 40조원)로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4분기 -1,194억달러) 이후 최대 규모였다. 올해 신흥국에 유입된 투자액(660억달러ㆍ약 78조원) 역시 작년(2,850억달러ㆍ약 337조원)의 5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이런 현상이 더 가속화되면 신흥국들은 통화가치 하락과 달러 부족사태가 겹치며 잇따라 외환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② 강달러 발 쓰나미 휩쓰나

신흥국들은 지난 10년 가까이 글로벌 저금리의 매력을 한껏 누렸다. 싼 이자로 달러화 부채를 끌어 썼고 원자재 시장의 호황을 틈 타 성장률도 높일 수 있었다.

이젠 정반대 상황이 됐다. 미국의 금리가 오르고 향후 강달러 현상이 지금보다 수위를 높이면 달러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국가ㆍ기업의 부채상환 부담은 급상승한다. 17일 UBS에 따르면 만기 도래 신흥국 외화표시채권은 올해 3,450억달러에서 내년 5,550억달러로 늘어난다. 2017~2019년 사이엔 연 평균 4,900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국제 원자재 시장엔 긴 암흑기가 올 수 있다. 이미 수요부족과 원유생산 주도권을 둘러싼 산유국들의 치킨게임까지 더해져 국제유가가 30달러대까지 낮아진 상태지만 강달러가 지속될 경우, 반등의 계기는 더욱 멀어질 수 있다. 씨티그룹은 내년 1분기 국제유가가 배럴당 20달러대로 내려갈 걸로 전망했다. 여기에 기타 곡물, 광물 등 다른 원자재까지 약세장을 지속할 경우, 자원수출 비중이 높은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 경제는 국가부도에까지 내몰릴 수 있다. 미 달러화와 자국 통화가치를 연동시킨 전세계 65개 ‘환율 페그제’ 국가들은 강달러가 지속되면 반대로 수출경쟁력에 치명적인 통화절상을 감수해야 할 판이다.

③ 중국, 유럽, 일본도 불안불안

미국 경제 전문가 10명 중 4명이 최근 미국 CNBC 조사에서 ‘이번 미국의 금리인상이 미국 경제에 나쁜 결과를 남길 것’이라고 볼 만큼 아직 미국 경제의 앞날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날 Fed가 ‘점진적 금리인상’ 방침을 누차 강조한 것도 이런 부작용 때문이다.

문제는 미국의 금리인상 모험 실패를 완충할 여타 주요국들도 사정이 여의치 않다는 데 있다. 중국의 경기둔화 가능성은 여전히 세계경제 최대 리스크 중 하나다. 중국 경제가 6~7%대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거품붕괴 등으로 좌초할 경우, 세계 교역 및 원자재 시장 등은 그야말로 초토화될 수 있다. 그간 사실상 달러화와 연동해 위안화 가치를 관리하던 중국 당국이 최근 13개 통화 바스켓으로 연동 기준을 바꾸며 강달러 현상 대비에 나선 것도 향후 신흥국들의 연쇄 통화가치 절하라는 후폭풍을 부를 수 있다.

여전히 경기둔화와 저물가에 시달리며 추가 양적완화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유럽과 일본 역시 한쪽(미국)에선 유동성을 조이고, 한쪽(유럽ㆍ일본)에선 돈을 푸는 ‘글로벌 통화정책 미스매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용식기자 jawoh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