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체르노빌의 목소리' 주요부분
알림

'체르노빌의 목소리' 주요부분

입력
2015.10.08 21:08
0 0

2015 노벨문학상 수상자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작품

‘체르노빌의 목소리’의 주요 부분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오늘날 거의 30개국에서 443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미국 104기, 프랑스 58기, 일본 55기, 러시아 31기, 그리고 한국에 21기가 있다. 종말을 앞당기는데 충분한 개수다. 그 중 20%가 지진 위험 지역에 있다.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체르노빌을 겪어 본 인류는 핵 없는 세상을 향해 갈 것만 같았다. 원자력의 시대를 벗어날 것만 같았다. 다른 길을 찾을 줄 알았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체르노빌의 공포 속에서 살아간다. 흙과 집은 주인을 잃은 채로 남아 있고, 들판은 다시 숲으로 변하고 있으며, 사람의 집에 동물이 살고 있다. 수백 개의 죽은 전깃줄과 수백 킬로미터의 도로가 의미 없이 연결되어 있다.

나는 과거에 대한 책을 썼지만, 그것은 미래를 닮았다.

- 한국어판 서문, 12~13쪽

군사적 핵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있던 것이지만, 평화적 핵은 집집마다 있는 전구 같은 거라고 생각했다. 그때만 해도 군사적 핵과 평화적 핵이 쌍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없었다. 공범자라는 사실을…. 우리는 더 똑똑해졌고, 전 세계가 더 똑똑해졌지만 체르노빌이 발생한 후에야 그렇게 됐다. 오늘날 벨라루스인들은 살아 있는 ‘블랙박스’처럼 미래를 위해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모두를 위해….

- 저자의 독백인터뷰, 21쪽

계속 죽고, 갑자기 죽는다. 길가다가 쓰러지고, 잠들고는 깨어나지 않는다. 간호사에게 꽃을 가져가다 심장이 멎는다. 버스 정류장에 서 있다가…. 그렇게 죽어가는데 우리가 무엇을 견뎌냈는지, 무엇을 보았는지, 아무도 제대로 물어보지 않는다. 죽음에 대한, 무서운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싫어한다.

하지만 나는 사랑에 대해 이야기했다. 내가 한 사랑에 대해….

- 사람의 외로운 목소리 하나, 52쪽

로봇이 죽어갔다. 과학자 루카초프가 화성탐험을 위해 만든 그 로봇들이…. 사람을 닮은 일본 로봇도 높은 방사선 수치 때문에 그 속이 다 타버린 것 같았다. 고무옷을 입고 고무장갑을 낀 군인들이 뛰어다녔다. 위에서 내려다보니 정말 작았다.

나는 모든 것을 머리에 새겼다. 아들에게 이야기해 주려 했다. 집에서 아들이 물었다.

“아빠, 거기 어땠어요?”

“전쟁이야.”

다른 말을 찾지 못했다.

- 군인의 합창, 131쪽

아직은 모르지만, 언젠가 물어볼 것이다. “왜 나는 사람들이랑 달라요?” “왜 나는 남자의 사랑을 받을 수 없어요?” “왜 나는 아이를 낳을 수 없어요?” “왜 모두한테, 나비, 새한테도 일어나는 일이 나에게는 안 일어나요?” 나는…. 나는 증명해야만 했다. 딸이…. 나는 증명 서류를 받고 싶었다. 딸이 자라서 이 사실을 알도록. 바로 나와 내 남편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 사랑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또 울음을 참는다) 4년을 싸웠다. 의사들과, 공무원들과 싸웠다. 높은 사람들과 면담도 했다. 힘들게 노력했다. 4년 만에 딸이 앓는 무서운 병이 전리 방사선, 저준위 방사선과 관련이 있음을 확증하는 진단서를 받아냈다. 나는 4년 동안 거절당했고, 그들은 내 딸이 소아 장애를 앓고 있다고 주장했다. 소아 장애라니? 내 딸이 앓는 장애는 체르노빌 장애다.

- 오래된 예언, 136쪽

원래는 조용하고 말 없을 것 같은 남자아이가 새빨개진 얼굴로 말을 더듬으며 물었다.

“왜 거기 남은 동물들을 도와주면 안 됐어요?”

그러게, 왜? 나도 생각 못 해본 거였다. 그래서 대답도 못 했다. 우리가 하는 예술은 사람의 고통과 사랑에 대한 것이지, 모든 생물을 취급하지는 않는다. 사람만! 다른 세계, 동물, 식물에까지 몸을 낮추지 않는다. 그런데 사람은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지 않은가. 다 죽일 수 있다. 요즘 세상에는 그런 게 더는 판타지가 아니다. 사고 후 처음 몇 달 동안 사람 이주에 대한 이야기가 한창일 때, 동물도 같이 이주시킬 프로젝트가 논의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데 어떻게? 어떻게 모두를? 땅 위를 걸어 다니는 동물들은 어떻게 시도라도 하겠지만, 땅속에 사는 벌레, 지렁이는? 저 위에, 하늘에 있는 것들은? 참새, 비둘기를 어떻게 대피시키지? 어떻게 하지? 그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방법이 없지 않은가.

- 성프란치스코는 새들에게 설교했다, 175쪽

그런데 제가 알고 싶은 건, 누가 잘못했느냐입니다. 우리가 여기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 누가 잘못했는지 밝혀야 합니다. 도대체 누구 탓일까요? 과학자? 발전소 직원? 아니면 세상을 그런 식으로 보는 우리 탓? 물질적인 욕구를, 가지려는 욕구를 멈추지 못한 우리 탓? 범인을 잡았습니다. 발전소 소장과 그날 당직을 섰던 기술자들입니다. 과학 잘못입니다. 그런데 왜? 대답해주세요, 우리는 똑같은 사람이 만들어낸 자동차와는 안 싸우면서 왜 발전소와는 이렇게 싸웁니까? 왜 핵 발전소를 다 폐쇄하라고 요구하고, 원자력 전문가들에게 소송을 걸려 합니까? 그리고 그들을 왜 저주합니까?

- 두 목소리: 남자와 여자, 185쪽

모두 전쟁과 비교한다. 하지만 전쟁은 이해할 수 있다. 아버지가 전쟁 이야기를 해주셨고, 내가 직접 책에서 읽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는? 우리 마을에는 묘지가 세 개 남았다. 첫 번째 묘지는 오래된 묘지로 사람이 묻혀 있고, 두 번째 묘지에는 우리가 버려 총살 당한 개와 고양이, 세 번째 묘지에는 우리 집이 묻혀 있다.

우리 집까지 장사지냈다.

- 민족의 합창, 249~250쪽

다른 한 사람은 위에서 구멍을 뚫었는데, 내려갈 때가 되어도 계속 망치질을 하더이다. 우리가 손을 흔들어 내려가자고 신호를 보내도 아예 무릎을 꿇고 계속 내리쳤소.

그 자리에 구멍을 뚫어 쓰레기를 내려보낼 배수관을 설치해야 했기 때문이오. 구멍이 뚫리기까지 일어나지 않았소. 1,000루블의 보상금을 받았소. 당시 돈으로 오토바이 두 대 값이었소. 지금 그는 1급 장애인이오. 그런 거였소. 두려움에 대한 보상은 즉각 주어졌소. 하지만 그리고 죽어가는 거였소. 지금 죽어가고 있소. 끔찍한 고통으로 괴로워하고 있소. 지난 휴일에 그를 보러 다녀왔소.

“내 소원이 뭔지 물어봐 줘.”

“뭔데?”

“평범한 죽음….”

- 자유와 평범한 죽음을 꿈꾸다, 319~320쪽

나는 집에만 있어요. 나는 장애인이에요. 우체부 아저씨가 우리 집에 오면 할아버지와 내 연금을 가져 와요. 우리 반 애들이 내가 백혈병 걸렸다는 걸 알아냈을 때, 내 옆에 안 앉으려 했어요. 나한테 닿을까 봐 무서워했어요. 내 손을 한 번 봤어요. 내 책가방과 공책도 봤어요. 아무것도 안 바뀌었어요. 그런데 왜 나를 무서워했는지 모르겠어요.

의사 선생님께서 그러는데요, 우리 아빠가 체르노빌에서 일해서 내가 아픈 거래요. 나는 아빠가 갔다 온 다음에 태어났는데도요.

그래도 난 아빠가 아주 좋아요.

- 어린이 합창, 386쪽

- 체르노빌의 목소리(새잎) 중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