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미중 정부·언론·전문가 반응
아사히 "中, 한미일 간 균열 노려" 요미우리 "反日 공동투쟁 의도"
NYT "中, 미국의 동맹 동요 속셈" 中 "한중 새로운 공동인식 도달"
한중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양국이 공동연구하기로 하고 중국이 내년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행사 공동 개최를 제의하자 일본 정부가 당장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과 미국 언론들은 중국이 한국을 제 편으로 끌어들이는데 공들이고 있고 한국은 미국과 사이에서 눈치보기를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4일 기자회견에서 한중 정상이 전날 회담에서 역사문제에 협력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데 대해 “쓸데 없이 과거사를 끄집어내 국제문제화 하려는 시도는 지역 평화와 협력 구축에 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장관도 이날 회견에서 한중정상회담 공동성명 부속서에 일본군 위안부 공동연구가 포함된 것과 관련해 “(위안부 문제를)정치문제, 외교문제화해서는 안 된다”며 “(일본은)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 문제에 최대한 노력해왔다”고 주장했다.
일본 언론들은 대체로 시 주석이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일 동맹에 금을 내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요미우리신문은 “공동성명에서 한중 양국이 외교ㆍ안보 고위급 전략 대화를 정례화하면서도 시 주석이 최근 내세운 아시아 안보관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며 “미국의 재균형 전략에 반기를 든다는 인식을 피하기 위해 한국이 일정한 거리를 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양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자료 공동 연구를 진행키로 한 것은 반일 공동투쟁을 한국이 받아들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신문은 또 4일 시 주석의 서울대 강연 내용 중 “일본의 군국주의자는 한중에 대한 야만적인 침략전쟁을 일으켜 한반도를 합병하고 중국의 절반을 점령했다”는 대목을 인용하며 일본에게서 역사적으로 피해를 봤다는 ‘공통체험’을 강조해 한국에 공동투쟁을 요청하려는 목적이라고 해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자에서 “중국은 대북관계에서 한국과 공감대를 형성해 6자회담을 통한 핵문제 해결을 원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한미일 연계에 금을 내려는 의도도 숨어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중국이)역사문제에서 한국을 끌어들여 일본을 경제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은 이용당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역사문제를 이유로 한중이 접근을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같은 방식이 계속될 경우 일본의 대한 감정은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하지만 이 신문은 일본 전문가를 인용해 “북한문제를 생각하면 중국과 일부러 대립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한국 외교가 훌륭하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은 대체로 시 주석의 방한을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동맹을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는 “시 주석이 미국의 핵심 동맹국인 한국을 방문한 것은 미국의 동아시아지역 동맹을 동요시키고 중국 중심의 지역 안보를 강화하려는 의지의 표시”라며 “시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대한 냉대를 보여주는 대신 한국 끌어안기에 나선 것”라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싱크탱크인 맨스필드재단의 프랭크 자누지 사무총장을 인용해 “중국은 미국과 일본에서 한국을 떼어낼 기회를 감지하고 있으며 동아시아에서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확대되는 경제적 영향력을 활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아시아에서 수년째 국가간 관계 재설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박근혜 정부 들어 한국은 대북정책과 관련해 중국을 장애물이라기보다는 동반자로 보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시 주석의 방한 성과에 대해 “이번 방문이 양국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 지도자가 중한 협력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양국간 발전 경험을 결산했다”면서 “새로운 정세하에서 양국 협력을 계획하면서 많은 새로운 공동 인식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왕이웨이 중국 런민(人民)대 교수는 홍콩 봉황TV와 인터뷰에서 “한국과 중국이 선린우호협력조약을 체결하고 중국이 ‘한국의 보호우산’이 돼야 동아시아 정세를 주도할 수 있다”며 “시 주석의 방한으로 한국 외교에서 중국의 지위는 올라가고 미국의 지위는 내려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도쿄=한창만특파원 cmhan@hk.co.kr
베이징=박일근특파원 i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