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발전소 짓고도 송전망 부족해 ‘가동제한’
알림

발전소 짓고도 송전망 부족해 ‘가동제한’

입력
2017.01.23 09:18
0 0
한국일보 자료사진
한국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전기 공급 확대를 위해 발전설비를 증설하고 있지만 생산한 전기를 소비자한테 전달해줄 송ㆍ변전설비 증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석탄화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충청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멀쩡한 발전소가 송ㆍ변전설비 부족으로 가동을 못 하는 ‘송전 제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송ㆍ변전설비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멀리 떨어진 가정ㆍ공장ㆍ사무실 같은 수용가로 보내는 데 필요한 설비다. 전기를 멀리 보내려면 전압을 크게 높인 뒤 송전시설을 통해 보낸 다음 수용가 근처에서 다시 전압을 낮춰야 한다.

국내에 많이 건설되는 석탄ㆍ원자력발전소는 그 특성상 전력의 주 소비처인 수도권에서 떨어진 해안가에 지어지기 때문에 이런 송ㆍ변전설비가 필수적이다.

환경 위해성이나 위험성 때문에 도시에 짓기 힘든 데다 바닷물을 발전용수로 쓰고, 발전연료를 수입하므로 항만과 가까워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송전 제약 사례를 보면 충남의 신당진변전소와 신서산변전소에 연결된 345㎸ 송전선로의 송전 허가용량(송전할 수 있는 용량)은 총 4GW인데 이미 서부발전의 태안 1호기∼8호기가 허가용량을 다 쓰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1GW 용량의 태안 9호기가 작년 10월 완공됐고, 역시 1GW짜리 태안 10호기도 올 1분기 중 완공될 예정이다. 발전소의 총 설비용량은 6GW인데 송전할 수 있는 용량은 이보다 2GW 적은 4GW에 불과한 것이다.

또 154㎸ㆍ765㎸짜리 송전선로에 물려 있는 신서산변전소 역시 송전 허가용량이 4GW로, 이미 당진 1호기∼8호기가 이 용량을 모두 채우고 있다.

하지만 작년 7월 당진 9호기(1GW)가, 10월에는 당진 10호기(1GW)가 추가로 완공됐다. 역시 용량이 2GW 초과한 상태다.

송전 허가용량이 2GW 수준인 동해변전소(345㎸ 송전선로 사용)는 지금까지 1GW 용량이 남아돌았지만 작년 7월과 11월 설비용량이 각각 0.5GW인 북평 1호기와 북평 2호기가 완공된 데다 작년 12월 완공된 삼척그린 1호기(1GW), 올 1분기 중 완공될 삼척그린 2호기(1GW)도 있어 2GW 부족하게 될 전망이다.

문제는 송전망 추가 건설이 사회적ㆍ경제적으로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장거리 송전망은 1㎞ 건설에 약 120억원(345㎸ 지중송전선 기준)이 투입되는 고비용 사업인 데다 장소 선정에서 완공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

송전망이 지나거나 송전탑이 들어서는 지역의 주민들 반발이 커 합의를 끌어내려면 설득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보상ㆍ지원 등을 위한 추가 비용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발전업계에서는 송전선로 10㎞ 건설에 최소 1년이 걸린다고 본다.

실제 한전은 2015년 송ㆍ변전설비 건설 등에 2조5,500억원을 썼고, 작년에도 3조575억원을 예산으로 편성했다. 올해부터 2019년까지는 8조9,25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