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계획에 반발한 중국의 한국 압박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중국 관광업을 관장하는 국가여유국은 2일 주요 여행사 관계자들을 불러 15일부터 한국행 관광 상품 판매를 금지한다는 방침을 구두로 통보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베이징을 시작으로 다음주 초까지 중국 전 여행사에 동시다발로 이 지침이 전달돼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의 지난해 사드 한반도 배치 방침 확정 이후 외교부 등을 통한 비난과 한류 및 수입 통제, 중국 내 한국 기업 단속 강화 등 반발에 이은 움직임이다.
사드 배치가 북핵ㆍ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적 조치라는 우리 정부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이처럼 압박을 넓히는 것은 정상적 외교 행태에서 크게 벗어났다는 점을 거듭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여야가 한목소리로 중국의 보복을 비난하고, 당정이 고위급ㆍ실무급 채널을 통해 중국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겠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다만 비상식적 대응이라지만, 중국의 압박이 한국경제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현실 또한 직시해야 한다.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 국내 관광ㆍ유통산업 전반에 그늘이 드리워질 수 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800만명을 넘어 전체 외국인 여행객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들이 줄면 여행업계는 말할 것도 없고 매출의 70% 이상을 중국인에 의존해 온 면세점 등 유통업계의 울상이 불가피하다. 더욱 큰 문제는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를 비롯해 중국 내 한국 기업의 활동 전반에 제동이 걸리거나, 대중 수출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다.
물론 수년 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당시 중일 양국이 비슷한 갈등을 빚었으나 2년여 만에 관계가 회복된 전례도 있어 상황을 비관할 것만은 아니다. 일본 기업의 중국 사업ㆍ수출 위축이 연쇄적으로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실리계산을 한 양국이 물밑에서 관계 회복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한 결과다. 이번에도 중국 당국이 아직 구두로만 압박 메시지를 보내고, 중국 언론도 사드 배치를 결정한 한국 정부와 롯데만을 겨냥해야지 다른 한국 기업이나 한국인을 압박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 데서 아직 그런 여지를 열어 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우리 정부와 기업이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닥쳐올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긴밀히 소통하면서 향후 사드 배치 실행 단계에 따른 중국의 추가 압박 시나리오까지 감안한 대응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