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재 결정문에 징용사실 포함 등 대안 모색할 듯
일본 근대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이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로부터 '등재 적합' 판정을 받으면서 앞으로 이 문제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관심이 쏠린다.
현실적으로 등재 자체를 막아내기 쉽지 않아진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입장을 반영시킬 것인지가 향후 외교전에서 핵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이 문제가 '등재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최근 강조하고 있다.
물론 올여름 독일에서 열릴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결정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해당 시설에서 과거 강제징용이 자행된 사실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킬 다른 방법도 다각적으로 모색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문제는 일본이 내세운 '메이지(明治) 산업혁명'의 이면에 조선인 강제징용의 참상이 숨겨져 있음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그리고 명확하게 드러내느냐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들 시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보고서에 조선인 강제징용이 있었다는 사실을 어떤 형식으로든 포함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보다 소극적인 방안이기는 하나 세계유산 등재 결정시 유산 제목에 시기를 특정해서 집어넣는 것도 있다.
일본 정부는 관련 시설의 등재 기간을 '1850년부터 1910년'으로 신청, 일제의 식민지배와 강제징용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꼼수를 동원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기를 명확히 못박아 이 점을 수면 위로 드러내자는 것이다.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이 강제징용에 관한 기념비를 산업유산 현장에 건립하는 방안 등을 일본 측에 거론했다는 보도도 일부 일본 언론에서 나왔다.
이런 대안은 모두 '부의 유산'(negative heritage)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의 유대인들에 대한 비인간적 범죄 같은 것이 반복되지 않게 하고자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과 관련해 이번 달로 추진되는 한일 양자협의에서는 이런 여러 선택지를 둘러싼 한일간 '밀고 당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전향적 태도를 보일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6일 "어찌 됐건 우리의 우려를 잘 반영하는 것이 목표"라며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올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