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의료진의 결핵 감염이 잇따르고 있다. 이화여대목동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 이어 고려대안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결핵 의심환자로 신고돼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세 병원 감염자 모두 면역력이 떨어지는 소아환자 간호사여서 감염 확산 우려가 크다. 앞서 3월에는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결핵에 감염돼 29명에게 세균을 옮기기도 했다.
병원만 위험한 게 아니다. 학교,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감염도 급증세다. 3일 경기 광주시 한 어린이집에서 결핵에 걸린 교사가 원생 20명에게 균을 옮겼다. 감염자들은 곧바로 질병을 일으키지는 않았으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10% 정도가 전염성 결핵으로 발전하는 잠복 결핵 상태였다.
2014년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86명으로 2위 포르투갈(25명)의 3.4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2명)의 7배나 된다. 1996년 OECD 가입 이후 줄곧 결핵 발생률ㆍ사망률 1위다. 매일 100명 가까이 새로 결핵에 걸리고 6명 이상이 결핵으로 숨지고 있으니 결핵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쓰고도 남는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데는 정부의 무관심 탓이 크다. 정부는 결핵 감염자가 줄어들자 1989년 보건소가 담당하던 결핵 환자 관리를 민간에 떠넘겼고, 2000년대 들어 다시 결핵이 번지기 시작했다. 정부는 2013년 종합대책을 내놓고 국가 차원의 적극적 관리를 통해 202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10만 명당 12명 이하로 떨어드린다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확고한 책임의식이 없는 데다 예산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다 보니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결핵이 창궐하는 요인의 하나인 의료기관 감염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 지난해 결핵에 걸린 의료인은 369명으로 학생(1,490명) 다음으로 많았다. 의료기관에는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영유아 환자가 많아 자칫 집단감염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최근 결핵예방법을 개정해 의료진ㆍ교직원의 결핵 검사를 의무화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하지만 1인당 검사비 5만원을 개인 부담으로 떠넘겨 대책이 유명무실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다른 예산을 아껴서라도 집단시설 고위험군에 대해선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학원 PC방 등 청소년 이용시설과 노숙자ㆍ외국인 노동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감염 차단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결핵은 전염ㆍ발병 양상이 복잡하고 치료도 쉽지 않다. 환자들도 책임의식을 갖고 꾸준히 복약하며 각별히 유의해야만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