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는 단지 불편한 것일 뿐인데 마치 불행한 것처럼 장애를 비하하는 표현들이 사용되고 있어 순화가 필요하다.
‘맹인’ ‘장님’ ‘봉사’ ‘애꾸눈’ ‘외눈박이’ 등의 표현은 ‘시각장애인’으로 순화해야 하고, ‘절름발이’ ‘불구자’ ‘앉은뱅이’ 등의 표현은 ‘지체장애인’으로 순화해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정신박약아’ ‘저능아’ 등은 ‘지적장애인’으로, ‘벙어리’ ‘말더듬이’ 등은 ‘언어장애인’으로, ‘귀머거리’는 ‘청각장애인’으로, ‘문둥이’는 ‘한센인’으로 순화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장애를 비유적으로 사용한 표현들이 속담이나 관용구의 형태로 남아 일상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다. ‘벙어리 냉가슴 앓듯’ ‘꿀 먹은 벙어리’ ‘귀머거리 삼 년에 벙어리 삼 년’ ‘절름발이 행정’ ‘장님 코끼리 만지기’ ‘눈 뜬 장님’ 등이 대표적인 장애 비유 표현들이다.
또한 장애를 비유한 말들이 표준어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의자 없이 바닥에 앉아서 쓸 수 있게 만든 낮은 책상’이라는 뜻으로 ‘앉은뱅이책상’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고 ‘엄지손가락만 따로 가르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함께 끼게 되어 있는 장갑’이라는 뜻으로 ‘벙어리장갑’이 역시 사전에 올라와 있다. 또한 ‘밀가루에 설탕, 달걀, 버터 따위를 섞어 반죽해 표면을 오톨도톨하게 구워 낸 빵’이라는 뜻으로 ‘곰보빵’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데, ‘곰보’는 얼굴이 얽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앉은뱅이책상’ ‘벙어리장갑’ ‘곰보빵’ 등 장애를 비유한 말들은 ‘좌식책상’ ‘엄지장갑’ ‘못난이빵’ 등의 말로 순화할 필요가 있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