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짜장면’은 ‘자장면’으로만 적어야 했다.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4항)라는 규정을 따랐기 때문이다.
흔히 /께임, 뻐쓰, 쎈터, 쨈/으로 발음하지만 ‘게임, 버스, 센터, 잼’으로 적는다. /짜장면/을 ‘자장면’으로 적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니었던 것이다. 보통의 외국어는 ‘울림소리-안울림소리’의 대립을 이루는데, 한국어는 ‘예사소리-거센소리-된소리’의 대립을 이룬다. 이런 불일치 때문에 울림소리를 예사소리 또는 된소리로 발음한다든지(boat-/보트/~/뽀트/), 안울림소리를 거센소리 또는 된소리로 발음한다든지(Paris-/파리/~/빠리/) 하는 혼란이 생기는 것이다. 이런 혼란을 줄이려고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울림소리는 예사소리로, 안울림소리는 거센소리에 대응시키고 된소리는 쓰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운 것이다. 이에 따라 ‘뻐쓰’와 마찬가지로 ‘짜장면’도 틀린 표기가 되었던 것이다.
‘짜장면’은 2011년에 열린 국어심의회에서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으로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외래어 표기법 제1장 제5항)라는 규정을 이 말에 적용하기로 하면서 바른 표기가 되었다. 관용 표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껌(gum)’, ‘카메라(camera)’ 등이 있는데, 이렇게 범위와 용례를 따로 정하는 까닭은 관용 표기가 많아지면 표기법 전체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04년에 제정된 타이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한글 표기 세칙에서는 예외적으로 된소리 표기를 인정한다. 이에 따라 ‘Phuket’은 ‘푸켓’이 아닌 ‘푸껫’으로, ‘Ho Chi Minh’은 ‘호치민’이 아닌 ‘호찌민’으로 적어야 한다.
이대성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