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이 만든 위안소의 조선인 위안부 숫자는 어떤 연구를 통해서도 아직 숫자가 확정된 바 없다. 그저 가해국(일본)은 숫자를 줄이려고 하고, 피해국(한국)은 숫자를 늘리려고 한다. 한국의 경우 위안부 문제 활동가들과 언론은 관행적으로 ‘20만’설을 채택한다. 2015년 12ㆍ28 합의 이후 신속하게 기획된 ‘시사IN’(제435호 2016.1.16.)의 군위안부 특집이 “일본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는 최소 8만명, 최대 20만명으로 추정된다”고 쓴 것이 대표적이며, ‘한겨레’ 1월 12일자에 나온 이윤제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칼럼도 “약 20만명의 한국 여성이 성노예가 되어 말로 형언할 수 없는 고통”을 겪었다고 한다.
관행적으로 쓰고 있는 20만 설은 앞으로 늘어나든 줄어들든, 활동가와 연구자가 사료와 논리로 뒷받침해야 할 숙제다. 그런데 사고(社告)나 마찬가지였던 ‘한겨레’ 6월 22일자 기사는 “2차 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30여만명으로 추산되는 식민지 조선의 어린 소녀들을 일본군 위안부로 끌고 가 성노예로 삼았다”라고 썼다. 20만에서 10만이 늘어난 30만 설을 주장하려면, 사료나 근거를 제시하면서 기존의 설을 논박해야 한다. 예컨대 ‘뉴욕타임스’가 600만명이라고 관행적으로 알려진 나치의 유대인 학살 숫자를 700만명으로 조정하고자 할 때는 그만큼의 설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언론이라면 당연히 거쳐야 할 확인 절차를 ‘찌라시’는 괘의하지 않는다.
만주사변 이후 조선, 중국, 남양군도(남태평양제도)에 일본군 300만명이 있었다. 20만명 설이 맞는다면 일본군은 병사 15명당 1명의 조선인 군 위안부를 둔 게 된다. 그런데 공인된 중국 연구자들은 최소 20만명의 중국인 군 위안부가 있었고, 강간을 당한 중국 부녀자의 수는 그것보다 많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일본군은 타이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현지인으로 이루어진 군 위안소를 추가한 데다, 그것도 모자라 강간을 일삼았다. 이 모든 게 사실이면, 일본은 원자폭탄 두 방에 나가떨어진 게 아니다. 전쟁을 해야 할 군인들이 불철주야 성폭행만 하느라 패망한 거다.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인 인구를 1,500만명으로 잡고 남녀 성비가 같았다고 상정할 때, 20만명이라는 군 위안부 숫자는 37.5명당 한 명의 여자가 끌려갔다는 뜻이다. 그런데 적어도 750만명의 여자 가운데 위안부로 삼기 힘든 10세 아래와 30세 이상의 여자를 빼고 나면 결혼 적령기의 여자 가운데 대부분이 일본군의 마수에 걸려든 게 된다. 민족의 가슴에 불을 지르기 위해 찌라시나 같은 언론이 ‘자극 경쟁’을 계속 벌인다면, 슬금슬금 10만명씩 늘어난 끝에 100만명의 조선인 군 위안부가 있었다고 해도 놀랄 일이 아니다. 불놀이가 신문을 한 부 더 팔게 해줄지는 몰라도 이런 국내용 선동으로는 결코 일본의 국가 범죄를 추달하지 못한다.
최근에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를 비판한 책 세 권이 나왔고, 어떤 책은 ‘한겨레’에 대서특필됐다. 이 기사는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 극우 ‘산케이신문’의 격찬을 받았다는데 새빨간 거짓말이다. 지은이가 기소되자 “한일 상호이해를 지향하는 책”이라고 쓴 것이 ‘산케이신문’이 보여준 가장 수위 높은 격찬(?)이었다. ‘한겨레’ 기사는 박유하의 책이 일본인으로 하여금 한국인 전체를“‘거짓말쟁이’ ‘사기 집단’으로 치부”하도록 만들었다고 말하는데, 행여 위안부 문제에서 한국인이 거짓말쟁이나 사기 집단이 되었다면 그렇게 만든 장본인은 따로 있다.
위안부 문제를 놓고 벌어지는 언론 사이의 자극 경쟁은 비용(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극을 하면 할수록 ‘민족 정론지’라는 영예를 차지하게 된다. 반면, 가령 위안부의 수를 낮추는 것과 같은 ‘사실 경쟁’은 비용이 드는데다가 ‘반민족 언론’이라는 오명마저 각오해야만 한다. 국가와 국가 사이의 과거사를 다루는 세계의 모든 언론은 이 딜레마에 빠져있다. 언론이 사실보도와 진실추구라는 준칙에 근거한 사실 경쟁을 외면하고 자극 경쟁에 뛰어들 때, 그 나라 국민은 거짓말쟁이나 사기 집단이 된다.
장정일 소설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