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15일 조기 대선을 지휘할 당 대표로 박지원 의원을 선출하는 등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 7개월 간의 비대위 체제를 마감했다. 이번 전당대회는 박 대표가 일찌감치 대세론을 형성했지만 누가 당 대표가 되느냐보다 김영환 문병호 등 안철수계 후보들의 득표율이 더 큰 관심사였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귀국에 즈음해 당 일각서 제기한 반기문 연대론에 맞서 자강론을 펼친 안 전 대표의 정치적 영향력을 가늠하는 잣대였기 때문이다.
박 대표 등 출마자 5명도 모두 이날 경선에서 자강론을 지지하며 안심(安心) 잡기에 주력했다. 안 전 대표가 “연대를 구걸하는 세력에게 미래는 없다”며 연대론을 펼친 일부 호남 중진의원을 강력 비판한 데 대해 상당수 당원과 초선 의원들이 동조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이 ‘정권 차원의 안철수 죽이기’로 규정한 4ㆍ13 총선 리베이트 사건 연루자들이 1심 무죄 판결을 받은 것도 안심 잡기 경쟁의 한 배경이 됐다. 하지만 새 지도부의 여전한 호남 색깔은 당 확장성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박 신임 대표가 비교적 쉽게 승리함으로써 그의 대선 영향력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박 대표는 일단 당 체제 정비부터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당장 한 자릿수까지 내려온 정권교체 가능성을 끌어올리는 게 최대 과제다. 국민의당 지지율은 지난 총선에서 26.74%로 야당 1위였으나 지금은 10% 초반으로 떨어졌다. 안 전 대표는 호남에서조차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게 밀리고 있다. 야권 정권교체 가능성은 85%에 달하는 반면, 국민의당으로의 정권교체 가능성은 10%도 안 된다. 사실상 국민의당 유일 대선주자인 안 전 대표 지지율이 계속 부진해 정권교체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연대론 불씨가 다시 살아날 수밖에 없다. 호남 중진의원들은 아직도 연대론에 미련을 두고 있고, 박 대표도 “반 전 총장 등 충청권과의 뉴DJP(김대중ㆍ김종필)연합에 관심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세가 약한 정당이 연대에 관심을 갖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정당이 서로 연대하려면 정치적 이념과 노선에 공통기반이 있어야 한다. 반 전 총장은 ‘정치교체’를 부르짖으며 기존 정당을 싸잡아 비판하고 있으나, 주변에 모인 인사들은 국정농단에 책임져야 할 보수 기득권층 일색이다. 정치는 사람이 하는 것이다. 인적 청산 없는 정치교체는 어불성설이다. 국민의당은 원칙 없는 연대론에 매달리기보다 자신들의 정체성부터 가다듬기 바란다. 과거 3당 야합처럼 오로지 대선 승리를 위한 정치공학적 이합집산은 국민의 정치혐오만 부를 게 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