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KS) 인증제도가 시행된 지 52년 만에 인증기관이 추가 지정됐습니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3곳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지정을 받아 지난달 30일부터 KS 인증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했습니다. 1998년부터 한국표준협회가 단독으로 해오던 인증 업무를 향후 한국에너지공단까지 포함해 총 5개 기관이 나눠 맡습니다.
인증은 제품이 정해진 기준이나 규정에 적합하게 만들어다는 것을 입증하는 제도로 제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객관적 절차입니다. 인증기관이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인증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는 얘기지요. 사회 전체적으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기업은 자사 제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받기 위해 적절한 인증시험을 거쳐 인증마크를 받습니다. 인증시험을 통과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기업에게 인증마크를 요구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지요. 의무사항이 아니더라도 자사 제품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 기업이 스스로 인증마크를 획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품을 구매하거나 사용할 때 인증마크를 꼼꼼히 확인하는 소비자는 많지 않습니다.
인증마크는 인증을 주는 주체에 따라 크게 국가인증과 민간인증으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는 빠른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정부가 나서서 품질관리를 하기 위해 국가인증을 도입했지요. KC와 KS 마크가 바로 국가인증입니다.
KC는 전기전자제품처럼 사고 위험이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을 위해 국가가 의무화한 인증이고, KS는 자율적 인증입니다.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최근엔 기업이 성장하면서 브랜드 자체가 소비자에게 신뢰를 얻게 되는 경우가 늘어 상대적으로 KS 인증을 받으려는 기업은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민간인증이 활성화 됐습니다. 북미 시장에서 월마트나 타겟 같은 대형마트가 납품 기업에게 민간인증인 UL 마크를 부착할 것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판매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해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UL 마크는 미국의 민간인증기업 유엘(UL, Underwriters Laboratories)이 120여년 동안 운영해온 인증제도입니다. 과거 보험회사를 통해 전기화재를 조사하며 출발한 유엘은 소비자가 입을 손실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다가 지금의 인증기업으로 변신했지요. 유엘의 한국법인 유엘코리아 관계자는 “매년 전 세계 시장에 UL 마크가 부착된 제품이 약 220억개 유통된다”며 “배터리 안전이나 화재 위험 같은 물리적 영역뿐 아니라 최근엔 실내 공기질이나 유해물질 방출 등 보이지 않는 영역까지 안전 인증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 인증마크는 국가별, 지역별, 분야별, 제품별로 매우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CE는 유럽연합(EU), CCC는 중국, PSE는 일본, CSA는 캐나다의 각종 규격을 만족했다는 의미입니다. 전자파 발생을 규제하는 FCC,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효율을 검증하는 에너지스타, 선박과 유아용품 안전을 각각 증명하는 ABS와 JPMA도 있습니다. 사용 후 회수ㆍ재활용 의무를 지킨다는 WEEE, 납ㆍ수은ㆍ카드뮴 등 6가지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RoHS는 전기전자제품 분야의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마크입니다.
최근 해외직구가 늘고 있는 만큼 외국의 공신력 있는 인증마크들을 평소 알아두면 안전한 제품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국표원 관계자는 “기왕이면 인증마크를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게 현명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임소형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