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지난 6년 동안 지속해온 양적완화(QE)를 종료했다. 연준은 28~29일(현지시간) 열린 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을 통해 “경제회복을 위해 지난 2008년부터 시행해온 4조달러 규모의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양적완화는 경기부양을 위해 연준이 미국 국채와 모기지(주택담보부)채권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시중에 천문학적인 달러(유동성)를 직접 공급해온 정책이다. 이번 선언은 미국 경제회복에 자신감을 찾은 연준이 ‘돈 풀기’ 부양책을 끝내겠다고 확인한 것이다.
양적완화 종료에 따라 이젠 양적완화와 병행된 또 하나의 ‘돈 풀기’ 정책인 0~0.25%대 초저금리 정책을 언제 전환할 것인가, 즉 미국이 언제 금리인상에 들어갈 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연준은 일단 “상당 기간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냈다. 그러나 “지표가 연준이 설정한 고용 및 인플레이션 목표에 더 빨리 접근한다면 금리인상 역시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덧붙여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미국 양적완화와 초저금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물론, 글로벌 경기회복을 이끌어온 견인차였다. 유럽과 일본 등의 대대적 금융완화책을 유도해 세계 실물경기는 물론, 증시 등 글로벌 금융시장도 살렸다. 특히 우리 경제에는 성장의 핵심 축인 수출을 유지하고, 글로벌 저금리와 달러 약세에 따른 해외자금의 유입으로 증시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제 양적완화가 공식 종료되고, 미국 금리 역시 인상 시기를 저울질 하는 국면이 시작됨으로써 우리 경제도 대비태세를 가다듬어야 하게 됐다.
양적완화 종료의 영향은 최근 수개월간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이 대거 이탈하는 등 국내 실물 및 금융시장에도 이미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금리인상은 한미 양국간 금리차 축소 및 상대적 달러강세 등의 경로를 타고 국내에서 해외자본의 대대적 유출을 일으킬 가능성도 없지 않다. 또 가뜩이나 국내 실물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엔저도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 게다가 우리는 이미 양적완화가 예정된 상황에서 오히려 두 차례나 기준금리를 낮춤으로써 향후 통화정책 운용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한국은 신흥국과 차별화돼 대규모 자본유출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하지만 97년 외환위기 역시 섣부른 자신감이 파국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결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글로벌 금융 여건의 대전환에 맞춰 경제정책 전반의 선제적 재정비가 시급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