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감동일까 어색함일까… 라거펠트가 해석한 한복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감동일까 어색함일까… 라거펠트가 해석한 한복

입력
2015.05.05 16:39
0 0

샤넬 2015/16 크루즈 컬렉션

아시아선 세 번째로 DDP서 열려

흑발 가체에 재킷 변형된 두루마기

오방색과 누빔 스타일도 사용

의상 절반 이상 강한 한국적 색채

"도식적 적용 촌스럽다"

"샤넬스럽게 잘 풀어내" 엇갈려

경쾌한 색동이 두드러진 샤넬의 재킷과 스커트. 남성복과 아동복도 선보였다. 샤넬 제공
경쾌한 색동이 두드러진 샤넬의 재킷과 스커트. 남성복과 아동복도 선보였다. 샤넬 제공

가히 ‘한복쇼’를 방불케 한 무대였다. 색동이 시시때때 출몰했고, 두루마기 자락이 도처에 휘날렸다. 마침내 도래한 ‘K-패션’의 저력에 대한 승인인가, ‘패션계의 교황’도 어쩔 수 없는 오리엔탈리즘인가.

샤넬의 ‘2015/16 크루즈 컬렉션’을 선보이는 패션쇼가 4일 오후 7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렸다. 마침내 한국에서도 샤넬의 글로벌 패션쇼가 열린다는 흥분으로 ‘자하 하디드의 우주선’이 수 차례 들썩거렸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틸다 스윈튼, 지젤 번천…. 롤리팝을 연상시키는 형형색색의 원형 스툴에 샤넬의 뮤즈들이 차례로 착석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패션 소비자들이 모인 패션쇼장은 파도처럼 술렁였다 잦아들기를 반복했다.

색동의 한복 치마를 이브닝드레스로 풀어냈다. 샤넬 제공
색동의 한복 치마를 이브닝드레스로 풀어냈다. 샤넬 제공

샤넬의 항해, 마침내 서울로

2000년부터 매년 열려온 샤넬의 크루즈 컬렉션 쇼는 춘하와 추동의 두 차례 정기 패션쇼 사이에 자리잡고 휴양지 옷차림과 간절기 패션을 선보이는 무대다. 다음해 봄ㆍ여름 패션 트렌드를 미리 점쳐볼 수 있어 세계 패션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휴양지로 떠날 부호들의 옷을 만들기 위해 2000년 처음 시작된 크루즈 컬렉션은 여행과 휴식에 대한 영감을 바탕으로 지금껏 파리, 뉴욕,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베니스, 생-트로페, 캡-당티브, 베르사이유 등의 도시를 돌았다. 아시아에서는 2013년 싱가폴, 2014년 두바이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다.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가 방한한 것은 이번이 처음.

중국도 아니고, 일본도 아니고, 왜 한국인가. 샤넬 측은 “전통과 최첨단 기술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서울은 다이나믹하고 창조적인 도시”라며 “서울이야말로 이번 크루즈 쇼를 위한 완벽한 장소”라고 설명했다.

가슴선을 블랙으로 강조한 오간자 소재의 한복 드레스. 샤넬 제공
가슴선을 블랙으로 강조한 오간자 소재의 한복 드레스. 샤넬 제공

컬렉션 지배한 영감의 원천, 한복

어쩐지 뻔한 비즈니스맨의 외교적 언술 같지만, 쇼는 과연 라거펠트의 한국을 향한 존경과 예로 넘쳐났다. 색동의 재킷과 스커트, 드레스가 된 누빔 한복치마, 재킷으로 변주된 두루마기 등 ‘한국적인 것’들이 컬렉션을 가득 채웠다. 모든 여성 모델들의 머리 위_특히 금발 모델들!_에 얹어진 커다란 흑발 가체는 이에 대한 라거펠트의 명확한 선언이었다.

소재의 측면에서 보면, 샤넬 특유의 우븐 트위드(굵은 양모로 짠 모직물)와 리넨뿐 아니라 한복의 노방을 떠올리게 하는 오간자, 레이스 등 가볍고 속이 비치는 소재가 많이 사용됐다. 기하학적인 패치워크(누빔)와 섬세하게 세공한 꽃무늬 자수장식도 한복을 샤넬 스타일로 재해석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였다.

색상은 오방색을 비롯해 형광 연분홍, 민트 그린, 터키쉬 블루 등 다양한 계열의 밝은 색들이 주조를 이뤘다. 최근 열린 샤넬쇼 중 가장 생기 있고 활력 찬 컬렉션이었다는 평가는 그래서 나온다.

수적으로도 압도적이었다. “구조적이면서 아방가르드한 라인으로 힘이 느껴지는 컬렉션”을 표방한 샤넬의 크루즈 라인은 쇼에서 선보인 전체 의상 중 절반 이상에서 한국적 색채를 강하게 풍겼다. “이렇게까지 해주다니…”와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의 외침이 관람객들 사이에선 미묘하게 엇갈렸다.

두루마기를 연상시키는 패치워크 재킷
두루마기를 연상시키는 패치워크 재킷

오리엔탈리즘 강요하는 취약한 한국패션

샤넬과 한복의 만남은 과연 행복했는가. 언뜻 개량한복 같아 보이는 저 옷들은 ‘코리아’라는 개념이 패션 거장에 의해 기계적이고 도식적으로 패션에 도입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샤넬은 한복을 해체하고 조립하여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한국 고객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단순 접목한 것은 아닐까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린 민트 컬러의 패치워크 치마에 재킷을 더했다. 샤넬 제공
그린 민트 컬러의 패치워크 치마에 재킷을 더했다. 샤넬 제공

의견은 갈렸다. 옷 자체로는 ‘원주민’의 눈을 사로잡지 못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어색하다” “촌스럽다” “한복에 대한 이해가 얕다” 등이 ‘오프 더 레코드’를 전제한 솔직한 의견들. 반면 “한국적인 것을 샤넬스럽게 매우 잘 풀어냈다”는 의견도 많았다. ‘스티브J&요니P’의 디자이너 요니 P는 “샤넬 정통쇼를 선보일 줄 알았는데, 한국적 요소로 풀어낸 옷들이 너무 많아 굉장히 놀랐다”면서 “샤넬만의 캐릭터와 특징에 한복의 요소들을 잘 반영한 걸 보면 리서치를 굉장히 많이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디자이너와는 다른 시각에서 한복을 해석하고, 라거펠트의 그 해석이 전 세계적으로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미칠 영향을 생각하면 매우 감동적인 쇼였다”고 덧붙였다.

샤넬 특유의 우아한 블랙에 반짝이는 장식이 돋보이는 한복 치마 드레스. 샤넬 제공
샤넬 특유의 우아한 블랙에 반짝이는 장식이 돋보이는 한복 치마 드레스. 샤넬 제공

소수민족의 복식을 영감의 원천으로 삼으려는 하이패션의 시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중국풍은 로코코 시대로까지, ‘자포니즘’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어낸 일본 스타일은 인상주의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문제는 통시적으로나 공시적으로나 한국은 오리엔탈리즘의 욕구조차 자극하지 못했다는 것. ‘서구라는 주체의 눈에 비친 아시아라는 타자’는 라거펠트의 한복에 적절한 비평적 논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이 점에 근거한다.

패션 큐레이터 김홍기씨는 “패션 한류를 말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요소들이 하이패션의 모티프로 해체되고 변주되어 새롭게 녹아 드는 과정까지 가야 하고 이는 긴 시간이 걸리는 과제”라며 “고맙게도 라거펠트가 그 첫 삽을 뜬 것”이라고 해석했다. 서구가 번역하는 에스닉한 요소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더라도 격려하고 유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 작업을 다른 디자이너가 아닌 칼 라거펠트가 해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고 파급력이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2011년 갓과 한복을 모티프로 한 컬렉션을 선보인 뉴욕 디자이너 캐롤리나 헤레라는 “한복이 너무 아름다워서 직감적으로 만들고 싶다고 느껴 찾아봤는데, 공부할 수 있는 영어자료가 전혀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다시 한 번 라거펠트의 저 한복 스타일을 보자. 저것은 아름다운가, 혹은 아름답지 않은가.

박선영기자 aurevoi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