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내달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중 특수작전부대(SOF)의 한국 파견을 계획하고 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국방부 관계자들은 ‘반(反)테러리즘’ 노력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다른 한편에선 이라크나 시리아에 파병된 미군들과 유사한 성격의 한국 주둔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려는 초기 움직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NYT에 따르면 평창올림픽 지원을 위한 미군의 파병 규모는 100명을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등 세계적 행사에 파견된 미 특수부대 규모가 통상 100여명 정도였는데, 북한 핵ㆍ미사일 개발로 인한 최근 한반도 긴장 고조를 감안하면 그보다 훨씬 많은 병력이 배치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현재 중동 지역에 주둔해 있는 미 육군 특전단 등이 한국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거론됐다.
표면적으로는 단순한 병력 재배치지만, 최근 미군의 훈련 시점, 범위 등까지 함께 고려하면 결국 ‘북한과의 전쟁 대비’ 차원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라고 NYT는 전했다. 지난달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브래그에선 48대의 아파치 헬기, 치누크 헬기로 군부대와 장비를 이동하는 훈련이 실시됐는데, 이는 최근 수년간의 공중강습훈련 중에서 최대 규모였다. 이틀 뒤 네바다주 상공에서 행해진 제82공정사단 소속 병사 119명의 C-17 수송기 낙하산 강하 훈련도 최근 비슷한 훈련의 2배 규모였다. 신문은 이를 들어 “미국으로선 원하지 않지만, 최후 수단으로 북한과의 전쟁을 조용히 준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NYT가 인터뷰한 20여명의 전ㆍ현직 국방부 관료와 사령관들은 이런 훈련들이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 가능성에 대비한 준비태세를 갖추라’는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매티스 국방장관과 조지프 던퍼드 합참의장은 그 동안 외교적인 대북 해법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위해선 ‘군사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또, 지난해 9월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미국이 위협받으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대북 강경메시지도 군 지도자들에겐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하라’는 주문으로 받아들여졌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다만 과도한 해석을 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방부 차관보를 지낸 데릭 콜렛은 “전쟁 개시 결정이 내려졌음을 알리는 대규모의 병력 이동은 없지 않느냐”면서 단순히 해석하라고 조언했다.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