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5위 자동차 생산 국가인 인도가 급성장하며 한국 업체들이 보다 주력해야 할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인도 현지에 생산ㆍ물류 통합 인프라 구축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높여 3위 수출 시장인 인도를 집중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트라는 17일 ‘인도 자동차 및 부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보고서를 통해 “세계 3위의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할 인도의 잠재력과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자동차 시장은 2012년 이후 연평균 8.3%로 가파르게 성장해 2016년 930억달러 규모가 됐다. 생산대수 기준 세계 5위권 시장으로 올라선 것이다. 인도 정부는 이런 흐름을 타고 자동차 산업 맞춤형 정책인 ‘AMP(Automotive Mission Plan) 2016~2026’을 통해 2026년까지 세계 3위 시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 경우 자동차 산업규모가 현재의 3.2배 수준인 3,000억달러로 확대되며 6,500만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업체도 인도 현지에 생산ㆍ물류 통합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원석 코트라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품질보다 가격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도 소비자의 특성을 감안해 현지조달을 통한 생산단가를 낮추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인도의 저렴한 노동력(평균임금 시간당 0.9달러)을 이용하면 생산거점 구축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인도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우대 정책(FAME-India)도 주목해야 한다. 극심한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전기차 인프라 구축 등에 2016년부터 3년간 총 1억5,000만달러를 투자하고, 2030년부터는 전기차만 신규 판매할 방침이다. 윤원석 본부장은 “인도 정부의 정책을 파악한 테슬라, 토요타 등 글로벌 업체들이 인도에 생산시설을 구축하거나 설치를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