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이상된 의료장비 비율
지방이 수도권의 최대 2배
지역 격차가 ‘원정 진료’ 부추겨
낡고 오래된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 등 노후 의료장비 비율이 서울에 비해 지방이 최대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지역간 격차가 ‘원정 진료’를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소하 정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노후ㆍ중고 의료장비 지역별 현황’ 에 따르면 2002년 이전 제조된 15년 이상 노후 의료장비는 비 수도권에 주로 몰려 있다. 무엇보다 정확성이 중요한 MRI와 CT, 유방촬영장치(Mammo), 양전자단층촬영(PET) 장비 등 고가의 특수 의료장비는 지난 7월 기준으로 전체 장비 중 노후 장비 비율이 충북 18.8%, 울산 17.2%, 충남 16.4%, 전북 16.3%, 대구 15.5% 등으로 전국 평균(12.0%)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서울(8.5%)은 충북과 울산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인천(10.2%) 경기(10.7%) 등 다른 수도권 지역 역시 전국 최하위 수준이었다.
이런 격차는 중고 의료장비 비율에서도 나타났다. 전체 특수 의료장비에서 중고 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서울이 25.6%, 인천이 28.3%, 경기가 30.7%로 전국 평균(32.2%)보다 낮았지만, 경남(42.9%) 충북(42.6%) 전북(42.4%) 울산(41.8%) 등은 40%를 넘었다.
의료장비의 노후화 정도는 지역 주민의 건강과 직결될 수밖에 없다. 더 나은 성능의 장비가 해마다 쏟아지는 특수 의료장비는 촬영 선명도 등이 높은 새 장비가 진단의 정확성 측면에서 노후 장비를 압도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서울의 대형병원들은 대부분 자기장 세기가 3.0테슬라 이상인 MRI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지방 병원은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인 1.5나 1.0테슬라 MRI를 둔 곳이 많다. 자기장 세기가 약하면 선명도가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비 수도권 주민이 수도권의 대형병원을 찾는 원정 진료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수도권 소재 상급종합병원을 찾은 원정 진료 환자 수는 81만8,400명으로 2012년(72만501명)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윤소하 의원은 “진료 정확성이 떨어지는 노후한 의료 장비가 지방으로 갈수록 많아진다면 그 피해는 지방 거주민들이 입게 되는 것”이라며 “건강보험 수가 차등 지급 등을 통해 ‘노후 의료장비의 지방 쏠림, 환자의 수도권 쏠림’이라는 악순환을 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