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두 번째 재가동에 부담감… 해체하자니 폐로 기술 없어 난감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수명연장이 확정되면서 2017년 6월 계속운전 기간 만료를 앞둔 고리 1호기 운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07년 10년 간 계속운전 허가를 받아 재가동 중인 고리 1호기를 계속 사용하려면 한국수력원자력이 6월 18일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한수원은 아직 신청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1978년부터 상업 운전을 했고 이미 한번 재가동까지 한 고리 1호기를 다시 연장하는 건 한수원으로서도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경제성 등을 이유로 한수원이 다시 계속운전을 신청한다 해도 쉽게 허가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달 발효된 원자력안전법 개정안에 따라 계속운전 허가를 받으려면 원안위 심의에 앞서 공청회 등을 거쳐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월성 1호기는 해당 평가서가 이미 제출된 뒤라 개정 법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반대로 고리 1호기 계속운전을 신청하지 않을 경우 한수원은 원전을 해체하는 폐로 절차를 준비해야 한다. 단계별 기술과 비용은 물론, 환경영향평가 방식까지 구체적 계획이 필요하다.
더욱이 우리는 폐로 기술을 아직 갖고 있지 않다. 관련 기술을 마련 중이지만 우리 기술로 원전 해체를 시작할 수 있는 시기를 전문가들은 2020~2021년으로 내다본다. 세부 법령이나 행정 절차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고, 수백~수천도를 오르내렸던 원자로의 온도를 낮추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원전 해체에 들어가려면 적어도 5년 이상 소요될 거란 예상이다.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연구본부 부장은 “폐로 기술 연구에 올해부터 2021년까지 해마다 1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예정돼 있다”고 말했다.
폐로 기술 확보는 원전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 원전들이 줄줄이 설계수명이 끝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고리 2호기 2023년, 3호기 2024년, 4호기와 한빛(영광) 1호기가 2025년에 수명이 종료된다. 그만큼 자체 폐로 기술을 확보해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