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 직접 출석>
반성 없이 탄핵소추 사유 일일이 반박
계엄군 영상을 정치 활동 보장 근거로
尹측 "앞으로 모든 변론기일에 나올 것"
탄핵소추된 대통령으로는 헌정사 처음으로 헌법재판소 심판정에 모습을 드러낸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측 소추사유를 일일이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2시간 동안 진행된 변론에서 적극적으로 발언권을 행사했으며, '합법적 계엄 선포'로 계엄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다고 강변했다.
헌재는 21일 오후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을 열었다. 윤 대통령은 앞선 기일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를 이유로 출석하지 않았지만, 이날은 남색 정장에 붉은 넥타이 차림으로 입정했다.
윤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 수호'가 계엄 선포 목적이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본격적으로 변론을 시작하기에 앞서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에게서 발언 기회를 얻자 "저는 철들고 난 이후로 지금까지 공직생활을 하며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 하나를 확고히 갖고 온 사람"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로 국회 활동을 방해할 의도가 없었다는 기존 주장도 반복했다. 문 권한대행이 "계엄 해제 결의를 위해 국회에 모인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에게 지시한 적 있냐"고 묻자, 윤 대통령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계엄군의 국회 진입 장면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을 '정치활동 보장'의 근거로 볼 수 있다는 주장도 했다. 윤 대통령은 변론이 끝날 무렵 "직원들이 저항하니까 군인들 스스로 나오지 않냐"며 "얼마든지 더 들어갈 수 있는데 그러지 않은 점을 좀 (살펴봐달라)"이라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언론은 대한민국에서 대통령보다 '초갑(甲)'"이라며 "계엄 해제는 국회가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았다고 한다면 뒷감당을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오히려 국회가 해제 요구안 결의 과정에서 국회법 절차를 어겼다고 주장했다.
핵심적인 탄핵소추 사유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장악'과 관련해선 "선거가 전부 부정이어서 믿을 수 없단 음모론을 제기하는 게 아니라 팩트를 확인하자는 차원이었다"고 발을 뺐다. 선거 공정성과 관련한 여러 의혹을 해소하고자 선관위 시스템을 점검하려는 것이었다는 취지다.
윤 대통령은 이른바 '비상입법기구 메모'와 관련해서도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쪽지를 준 적도 없고, 계엄 해제 후 한참 있다가 기사에서 봤다"며 "그렇다면 이걸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국방부 장관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장관이 구속돼있어서 구체적으로 확인을 못했다. 내용 자체가 모순되는 것 같기도 하다"고 했다. 23일 예정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증인신문 때 윤 대통령을 잠시 퇴정시키거나 가림막을 설치해달라는 국회 측 요구에 대해선 "사건 내용을 제일 잘 아는 사람은 저인데 이해가 안 된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이날 변호인들과 의견을 주고받으며 적극적으로 방어에 나서면서 향후에도 헌재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변론이 끝난 뒤 취재진에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대통령은 탄핵심판 기일에 모두 출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