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ㆍ30 국회의원 재ㆍ보궐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압승했다. 세월호 참사 여파가 여전히 정국을 지배하는 가운데 벌어진 놀라운 결과다. 새누리당은 전국 15개 지역 가운데 11곳에서 승리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4곳 밖에 얻지 못했다. 여당은 민심의 바로미터인 수도권ㆍ충청 9곳 중 8곳을 석권, 여론조사 전문가들이 예상한 최대치도 훌쩍 뛰어넘었다. 반면 야당은 손학규 김두관 후보 등 대선 잠룡들이 줄줄이 낙선하고 텃밭인 전남 순천ㆍ곡성까지 여당에 내줬다.
무승부로 기록된 6ㆍ4 지방선거와는 확 달라진 이번 결과는 새누리당이 보수 혁신을 내세우고 공천에서 잡음이 심했던 새정치민주연합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선 데 힘입은 바 크다. 여기에는 당청관계와 여야관계 등에서 국정 운영의 책임을 진 새누리당의 변화를 기대하는 유권자 심리가 크게 작용했다고 봐야 한다. 김무성 대표 체제가 공고해지고 새누리당이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쥐게 됐지만 오만에 빠져선 안 된다. 세월호 참사 여파와 검ㆍ경의 유병언 수사 부실 등에 따라 국민들의 불신이 극도에 달한 점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세월호 특별법을 원만히 해결하지 못할 경우 정국은 혼돈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 국회선진화법으로 정부조직법이나 경제활성화 관련 입법 등 쟁점 법안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야당 협조가 절실한 만큼 여야관계에서 절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압승에 취해 힘으로 밀어붙일 경우 혼란만 가중될 따름이다.
같은 맥락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재ㆍ보선에서 나타난 민심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 선거결과를 정부 무능의 면죄부로 오판해선 안 된다. 여론조사에서 국정 지지율이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부정평가가 높아진 이유를 심각하게 봐야 한다. 새누리당이 사실상 ‘박근혜 마케팅’ 없이 이번 선거를 치른 것도 이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2기 내각 출범을 계기로 불통과 독선 정치에서 탈피해 변화와 혁신으로 국정운영의 동력을 회복해야 한다. 적극적인 소통과 함께 권한의 위임을 통해 총리와 장관이 책임 있게 일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야 정국도 안정될 것이다.
지도부 책임론 등 후폭풍이 거세지게 된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참사의 반사이익에만 기댄 결과가 아닌지 크게 반성해야 한다. 유리한 선거환경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참사 이후 여권에 비판적인 지지층과 중도층을 투표소로 견인하지 못한 원인이 어디 있었는지는 자명하다. 전략공천 파문이 일었던 광주 광산을이 최저 수준의 투표율을 기록한 점만 봐도 야당이 유권자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는 점이 명백하다. 이번 공천이나 선거방식에서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보다 혁신적이지도, 절실하지도 않았다. 김한길ㆍ안철수 대표는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고 계파갈등만 노출, 국민에게 믿음을 주지 못했다. 지금 역량으로는 오는 2016년 4월 20대 총선이나 차기 대선에서 미래를 기약하기도 어렵다.
이제 여야는 이번 선거 결과를 겸허한 자세로 수용하고 검토해 국민의 여망에 맞는 정치를 보여야 할 것이다. 재보선 이후 당내 혼란 등을 조속히 수습하고 세월호와 민생문제 해결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